실시간 랭킹 뉴스

마지막 황세손의 로맨스-창덕궁 희정당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고궁 전각에 얽힌 재미있는 뒷 얘기 시리즈⑭

창덕궁 희정당. 편전으로 쓰였던 희정당은 마지막 황세손 이구씨의 장례식이 열리기도 했다. (자료제공=문화재청)

 

▲ 일본에서 객사한 비운의 황세손 이구

2005년 7월 24일. 창덕궁 희정당에서는 마지막 황세손 이구씨의 장례식이 열렸다. 이해찬 국무총리와 여야 정치인, 일본 대사,일본 황실측 인사, 문상객등 천여명이 운집했다.

9일장으로 치러진 장례식은 화려하고 엄숙하게 치러졌지만, 그의 삶의 궤적은 장례만큼 화려하지 못했다. 가족조차 변변히 없이 한국과 일본, 미국을 오가며 정체성마저 불분명한 인생을 살아온 마지막 황세손은 도쿄의 아카사카의 한 호텔에서 쓸쓸히 죽음을 맞았다.

이구씨의 사망으로 조선왕조 6백년의 적통은 완전히 끊어지고 말았다.

마지막 황세손 이구. 한국과 일본등을 전전하다 쓸쓸하게 일생을 마쳤다.

 

이구는 고종의 일곱 번째 아들이었던 영친왕 이은과 일본인 이방자 여사의 둘째아들로 태어났다. 위로 형인 진이 있었지만, 생후 8개월만에 의문의 죽음을 당해 사실상 마지막 황세손이 됐다.

도쿄의 가쿠슈인 고등과를 졸업하고, 미국 유학길에 올라 M IT공과대 건축과에 입학했고, 대학을 졸업한 뒤 뉴욕의 건축사무서에서 일을 하기도 했다.

해방후 이구는 1952년 대일 강화조약에 따라 국적이 일본에서 한국으로 바뀌었지만, 조선 왕조 후손의 입국을 껄끄러워한 이승만 대통령의 반대로 고국에 입국조차 할 수 없었다.

미국 유학당시 독일계 미국인 줄리아와 결혼한 이구는 한국과 일본을 오가면서 이혼과 잇따른 사업실패로 힘든 삶을 이어왔다. 이구는 홍릉 뒤편, 아버지인 영친왕 묘역에 안장됐다.

이구씨와 줄리아의 다정했던 모습. 외국인이었던 줄리아는 자식이 없다는 이유로 이구씨와 강제 이혼했다.

 

▲황세손의 로맨스-줄리아와 유위진

마지막 황세손 이구는 가정사도 순탄하지 않았다. 미국 M IT를 졸업하고 미국 아이엠페이(IMPEI)에서 건축사로 활동하던 그는 같은 회사에서 근무하던 8살 연상의 미국인 줄리아 멀룩을 만났다.

1959년 줄리아와 결혼한 이구는 1963년 박정희 대통령의 초청으로 귀국해 낙선재에서 어머니 이방자 여사와 함께 살았다. 하지만 두 사람은 77년부터 별거에 들어갔고 그렇지 않아도 외국인이라며 못마땅해 하던 종친들은 자식이 없다는 이유를 들어 두 사람의 이혼을 종용했다. 결국 이구와 줄리아는 82년 이혼에 이르렀다.

이혼 후 줄리아 멀룩은 고향으로 돌아가지 않고 한국에서 공예점등을 운영하며 장애인 복지사업을 펼치다가 생활고를 이기지 못하고 결국 95년 친정인 하와이로 돌아가고 말았다.

이구씨의 노제 행렬. 줄리아여사는 장례에도 초대받지 못한 채 먼발치에서 그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다. (노컷뉴스 자료사진)

 

그리고 조선의 마지막 황세손비는 그의 장례식에도 초청받지 못한 채 병색이 짙은 82살의 늙은 몸을 이끌고 먼 발치에서 그를 환송했다.

0

0

오늘의 기자

실시간 랭킹 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