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 고객정보 유출사태에 덩달아 불안해진 회사원 A씨. 고객정보가 유출된 KB국민카드와 롯데카드,NH농협카드 회원은 아니었지만 '사상 최대의 유출 규모'라는 뉴스에 본인의 정보유출 여부를 확인해 봤다.
KB국민카드와 롯데카드에서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자신의 정보가 유출됐다는 결과에 A씨는 찜찜한 생각을 털어버리지 못했다. 한때 거래하던 국민은행과 연결된 KB카드에서 정보가 빠져나간 것은 이해됐지만 롯데카드는 수십번 생각해도 만들었거나 계열사와 거래해본 기억이 나지 않기 때문이다.
'과거에 카드를 만들었지만 고객이 기억 못하고 있을 뿐'이라는 카드사의 대답에 A씨는 '그럴 수도 있겠구나' 생각했다. 과거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길거리에서 아무에게나 신용카드를 만들어 줄 정도로 카드발급에 제한이 없었다. 직장생활 초년병이던 A씨도 지갑에 신용카드를 5,6장 정도는 꼽고 다닐 정도였다.
하지만 도대체 생각해도 롯데카드는 낯설다는 생각에 A씨는 자신이 과거에 어떤 신용카드를 만들었는지 찾아보기 시작했다. 쉽지 않았다. 개별 카드사 콜센터에 전화를 걸어 주민번호를 대고 카드 발급여부를 확인하려던 A씨는 포기하고 말았다. 정보유출 대란에 각 카드사 콜센터도 먹통이 돼버린 것.
이곳 저곳 수소문 끝에 A씨는 신용정보평가회사나 은행연합회 홈페이지에 가면 자신의 신용카드를 한꺼번에 조회할 수 있다는 말을 들었다.
이번 유출사건을 일으킨 신용평가회사 KCB 홈페이지를 찾았다. 신용카드 조회 기능이 있었다. 더군다나 무료다-3개월에 한번씩 조회할 경우에만. 하지만 '살아있는' 카드만 조회됐다. 유효기간이 지난 '죽은 카드'는 찾을 수 없었다.
은행의 고객정보가 집중되는 은행연합회 홈페이지에도 유사한 메뉴가 있었다. 하지만 이 역시 유효기간이 지난 카드는 조회되지 않았다.
A씨는 금융사에 근무하는 친구에게 물어 여신금융협회라는 곳의 홈페이지를 방문했다. 여신금융협회는 카드회사들의 모임이다. 협회 홈페이지에는 '신용카드 포인트 통합조회'메뉴가 있었다.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넣고 모든 카드사를 선택한 뒤 조회단추를 누르니 현재 쓰고 있는 카드 뿐 아니라 과거에 만들었던 카드 이력도 나왔다.
하지만 문제의 '롯데카드'는 '자사회원이 아닙니다'라는 메시지만 떴다. '분명히 과거에 카드를 만들었을 것'이라는 롯데카드사의 설명에도 협회 조회란에는 '자사회원이 아니다'는 점을 알리고 있었다.
A씨는 여신협회에 직접 전화를 걸었다. 협회는 "자사회원이 아니다라는 말은 해당 카드를 만든 적이 없거나 만든 뒤에 회원탈퇴를 한 경우"라고 설명했다. '사용하지 않는 신용카드는 가위로 잘라버리면 끝'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던 A씨였기에 카드사에 회원탈퇴를 자청한 적은 지금껏 없었다. 결국 카드를 애초부터 만들지 않았을 가능성 밖에 남지 않는다.
여신협회 홈페이지에서도 A씨가 롯데카드를 만들었는지 여부는 확인할 수 없었다. 어떤 카드를 만들었는지를 확인할 수 없으니 카드사에 내 정보를 삭제해달라고 요청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이번 사건에서 일부 카드사들은 탈퇴한 회원의 정보도 갖고 있었다고 하니 결국은 모든 카드사에 내 정보를 삭제해달라고 요청할 수 밖에 없다. 카드를 만들었건 안만들었건. 그게 가능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