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 사진공동취재단육군 수도방위사령부 조성현 제1경비단장(대령)이 내란우두머리 혐의로 기소된 윤석열 전 대통령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이진우 전 수방사령관으로부터 의원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재차 인정했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증인신문 순서에 이의를 제기하고 반대신문 준비가 안 됐다며 다음 기일로 신문을 미뤘다.
조 단장은 이날 오후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지귀연 부장판사)가 417호 형사대법정에서 연 윤 전 대통령의 '내란 혐의' 형사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증인신문에서 조 단장은 "이진우 수도방위사령관으로부터 본청 내부에 진입해 의원들을 외부로 끌어내란 지시를 받은 게 맞냐"는 검찰 측 질문에 "그렇다"라고 답했다.
지시를 받은 이후 조 단장은 이 전 수방사령관에게 전화를 걸어 "이 역할에 대해 저희가 할 수 있는 역할이 제한되고 특수전사령관과 소통해 달라"고 요청했고 이 전 수방사령관은 잠시 뒤 전화를 걸어와 "특전사가 의원들을 끌고 나오면 밖에서 지원하라"고 말했다는 게 조 단장의 설명이다. 윤 전 대통령 헌법재판소 탄핵심판에 증인으로 출석했을 때와 같은 답변을 한 것이다.
조 단장은 검사의 "계엄 이전 북한 도발 등 특이 동향이 없고 일상 수준으로 인식되던 상황이었나"는 질문에 "그렇게 인식하고 여유 있게 부대를 운용했다"고 답하기도 했다. 최소한 조 단장은 비상계엄을 선포할만한 상황으로 인식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조 단장의 발언에 윤 전 대통령은 검찰 증인신문 도중 끼어들어 발언하는 등 강하게 반발했다. 윤 전 대통령은 "그 질문을 헌재에서 들은 거 같은데 반대신문을 할 건 아닌데 저 증인이 굳이 오늘 나와야 하는지 순서에 있어서 뭔가 좀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많이 있다"며 "헌재에서 (관련 답변을) 상세히 한 거 같다"고 강조했다.
내란 우두머리 혐의를 받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14일 형사 첫 정식재판이 열리는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잠시 뒤 다시 발언 기회를 얻은 윤 전 대통령은 "오늘 같은 날 헌재에서 다 신문한 사람들을 오늘 굳이 장관들을 대신해 나오게 한 것은 정치적 의도가 있지 않나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작년 12월 4일 비상계엄 해제안이 국회를 통과한 이후 국방부 장관의 지시를 받고 군이 퇴각하던 상황에서 군이 스스로 판단해 철수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라는 취지의 주장을 하기도 했다.
조성현 단장에 이어 김형기 특수전사령부 1특전대대장(중령)의 증인신문이 이뤄진 가운데 재판부는 다음 공판 기일인 오는 21일 두 증인에 대한 윤 전 대통령 측 반대신문 등을 진행하기로 했다. 증인신문 대상자가 변경된 것에 여러 차례 불만을 토로한 윤 전 대통령 측은 준비가 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이날 신문을 진행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