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뉴스는 한쪽 진영에'만' 퍼진다▶가짜뉴스는 '공론장 전체'가 아닌 특정 진영에만 퍼지며, 정치적 무기로 활용된다.
▶과거에는 같은 뉴스를 진보·보수 모두가 보며 논쟁이 가능했지만, SNS와 유튜브 알고리즘의 도입 이후 정보는 철저히 분리됐다.
▶정보가 '어떤 대상'에 도달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는 의미다.
▶이는 팩트 체크를 불가능하게 만들고, 감정적인 여론조작 수단으로 가짜뉴스가 기능하게 만든다.
▶만약 같은 콘텐츠가 양 진영에 균일하게 도달했다면, 해당 콘텐츠는 편향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는 걸 의미한다.
▶김덕진 "가짜뉴스가 반대 진영에게만 가요. 그 진영의 지지층을 흔들기 위한 도구로 쓰이니까요. 사실 여부보다 감정 자극이 중요해진 거죠."
댓글조차 필터버블 속에 있다▶온라인 댓글 공간은 더 이상 '대화의 장'이 아니다. 같은 의견만 순환하는 '진영 내 강화 기제'다.
▶김덕진 소장은 유튜브 채널 댓글을 네트워크 분석해 서로 다른 정치 채널 이용자 간의 교류가 거의 전무하다는 것을 실증했다.
▶커뮤니티 내에서는 실제로 '화이팅' 같은 따뜻한 댓글만 넘치고, 비판이나 상호 논쟁을 비롯한 생산적 논점이 없었다.
▶ 김덕진 "서로 다른 채널을 본 사람이 거의 없어요. 채널 안에서는 그냥 '화이팅!'만 외치고 충돌이 없어요. 진짜 공론장은 충돌에서 탄생하는데 말이죠. 진짜 공론장은 충돌에서 탄생합니다"
홍카콜라와 알릴레오 유저는 결코, 영원히 만나지 않는다
▶균형보다 확신을 선호하는 유튜브 알고리즘은 진영 간 연결을 완전히 차단하며, 극단적 분리된 인지 세계를 형성한다.
▶유튜브 유저 간의 콘텐츠 소비 흐름을 시각화한 결과, '홍카콜라' 시청자와 '알릴레오' 시청자는 아예 교차하지 않았다.
▶이는 물리적으로 같은 플랫폼을 사용하면서도 완전히 다른 현실을 산다는 의미다.
김덕진 '유튜브 필터버블 현상에 대한 실증적 연구' 논문 중 ▶김덕진 "엄창나게 많은 사람이 이용하고 있음에도, 정말 두 개의 완전히 분리된 원으로 나타나는 걸 알 수 있어요. 딱 한두 명만 겹치고, 전혀 교차가 없어요."
SNS기업이 심리학을 공부하는 이유▶빅테크 SNS기업은 '사용자 체류 시간'을 극대화하기 위해 인간의 심리적 약점을 겨냥해 플랫폼을 설계한다.
▶추천 알고리즘, 자동 재생, 좋아요 시스템 등은 모두 심리학에 기반해 사용자 행동을 유도하고, 자극에 반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얼마나 효과적이고 어찌나 파괴적인지, 유튜브의 추천 시스템 개발자도 자신이 만든 시스템을 후회할 정도다.
▶김덕진 "이 앱들은 그냥 만든 게 아니에요. 모든 게 사람의 심리 반응에 맞춰 설계된 거죠. 알고리즘이 당신을 안다고 느껴질 때, 그건 '당신을 이기고 있는 중'입니다"
이대로 기술만 발전할 경우, 어떤 디스토피아가 펼쳐질까▶핵심 메시지기술 발전만 앞서고 제도·윤리가 뒤처지면, 인류는 '기술 귀족'과 '도파민 민중'으로 나뉜다.
▶시민 사회가 교육과 윤리를 갖춘 소수에게 집중되는 한편, 다수는 알고리즘의 자극에 중독된다.
▶도파민 민중은 사회 불평등은 느껴지지 않게 감각적으로 무뎌지고, 이는 사회적 전복 가능성조차 제거한 형태의 디스토피아가 될 것이다.
▶김덕진 "그런 미래에서는 1시간을 보내는 데 쓰는 돈이 너무 달라지겠요. 넷플릭스 몇십 원으로 도파민 가득하게 보낼 수 있잖아요. 그럼 문제를 느끼지도 못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