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지난 1분기 국내 기업들의 수익성과 재무 안정성은 개선된 반면, 성장성은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2025년 1분기 기업경영분석' 결과에 따르면 외부감사 대상 법인기업 2만3천137개의 1분기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 늘었다. 지난해 4분기(3.5%)와 비교해서는 증가율이 1.1%포인트(p) 축소됐다.
제조업 매출액증가율은 2.8%로,전분기(3.8%)보다 하락했다.기계·전기전자 매출액 증가율 감소와 중국산 저가제품 공세 등에 따른 1차 금속 수출 감소 등에 영향을 받았다.
비제조업 매출액 증가율은 1.9%로,전분기(3.1%)보다 떨어졌다. 운수업 매출 증가세 둔화 비롯해 국내 주택건설 실적 감소에 따른 건설업 부진 등의 영향이다.
한국은행 제공반면 기업들의 수익성 지표는 전반적으로 개선됐다.
전체 조사 대상 기업의 1분기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6.0%)은 지난해 1분기(5.4%)보다 0.6%p 올랐다.
제조업(5.4%→6.2%)과 비제조업(5.3%→5.9%)의 영업이익률이 모두 상승했다. 고부가가치 반도체·선박 등의 판매 비중이 늘어난 데다 영업이익률이 높은 게임 업체들의 실적이 개선된 영향으로 분석됐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5.7%→6.4%)과 중소기업(3.8%→4.1%)의 영업이익률이 모두 상승했다.
재무 안정성 지표도 소폭 개선됐다. 부채비율은 89.9%로 전분기(91.2%)보다 하락했고, 차입금 의존도도 25.0%로, 전분기(25.1%)보다 떨어졌다.
정영호 한은 기업통계팀장은"기계·전기전자 등 정보통신 중소기업 업황이 대기업보다 상대적으로 안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외감기업 중에서도 삼성전자나 하이닉스 등 반도체 기업 영향 등의 영향이 컸다"고 밝혔다.
관세 영향과 관련해서는 "1분기 실적에서 관세 영향 부분만 따로 확인하기는 어렵고, 영향이 진행 중인 만큼 앞으로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