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인종청소' vs '주민 보호'…가자 '강제이주' 구상 논란 확산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반대론자들, 반인권 범죄 청사진…나치 독일 강제수용소 비유
찬성론자들, '인도주의 도시 건설' 프로젝트

연합뉴스연합뉴스
이스라엘이 밝힌 가자지구의 팔레스타인 주민 강제 이주 구상을 두고 '인종청소'라는 비판이 나오는 등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에후드 올메르트 이스라엘 전 총리는 13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이스라엘의 '인도주의 도시' 건설 계획에 대해 "그것은 강제수용소"라며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그곳으로 강제 이주된다면, 이는 인종청소의 일환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올메르트 전 총리는 "그들이 만약 가자지구의 절반 이상을 '청소(clean)'하려고 수용소를 짓는다면 이는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구하려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추방하고 밀어내고 버리기 위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카츠 이스라엘 국방장관은 지난 7일 가자 남쪽의 중심도시 라파에 '인도주의 도시'라는 정착촌 건설을 군에 지시했다고 밝혔다.

초기에는 60만명을 이주시킨 뒤 최종적으로는 가자지구 인구 200만명 전체를 이주시킨다는 것으로, 이곳에 한 번 들어가면 다른 국가로 이주하는 것을 제외하고 마음대로 떠날 수 없게 하겠다는 구상이다.

2006~2009년 이스라엘 총리를 지낸 올메르트는 이스라엘 정부의 가자지구 침공 직후엔 정부를 지지하는 입장이었지만 이후 무고한 민간인이 살상되는 상황이 이어지자 이를 "전쟁범죄"라고 규탄해왔다.

그는 이스라엘이 이미 가자지구와 서안지구에서 전쟁범죄를 저지르고 있는 상황에서 이른바 '인도주의 도시' 건설은 이 같은 범죄의 수위를 높일 뿐이라는 점을 지적했다.

연합뉴스연합뉴스
특히 가자·서안지구에서의 폭력을 지지하며 대규모 정착촌 확장을 추진해 온 극단주의 성향의 이스라엘 장관들에 대해 "내부의 적"이라며 "장기적으로 외부의 적보다 더 큰 위협"이라고도 말했다.

'인도주의 도시' 구상은 이스라엘 내부에서도 찬반 논란이 거세지는 분위기다.

이스라엘 정부는 해당 프로젝트가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는 입장이지만, 이스라엘의 인권 변호사와 학자들은 이 구상을 '반(反) 인권 범죄의 청사진'이라며 비판하고 있다.

반대론자들이 이번 프로젝트를 '강제수용소'에 비유하며 비판하자 찬성론자 사이에서는 이스라엘 정부의 방침을 나치 독일 당시의 강제수용소로 취급했다는 반발도 나왔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