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의 사저인 서울 서초구 아크로비스타. 연합뉴스순직해병 특검이 압수수색 과정에서 30여 개의 휴대전화를 확보한 가운데, 윤석열 전 대통령과 이시원 전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은 특검에 휴대전화 비밀번호를 제공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14일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지난 11일 윤 전 대통령의 주거지를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이 사용하던 아이폰 1대를 확보했다. 당시 윤 전 대통령은 구속된 상태였으며 압수수색은 변호인이 입회한 상태에서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휴대전화 확보 이후 특검팀은 휴대전화 비밀번호를 제공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윤 전 대통령 측은 이에 협조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특검팀은 또 지난 10일 이시원 전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 자택 등에 대한 압수수색 과정에서 이 전 비서관의 휴대전화를 확보했지만 이 전 비서관 측 역시 비밀번호를 제공하지 않았다.
이밖에 압수된 휴대전화와 관련해 비밀번호를 제공하지 않은 사례는 더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팀은 압수한 휴대전화를 대검찰청에 넘겨 디지털 포렌식 작업을 의뢰할 예정이다.
한편 특검팀은 지난 10일부터 국방부와 국가안보실, 윤 전 대통령 자택 등 총 20여 곳에서 압수수색 영장을 집행했다. 이를 통해 휴대전화 30여 개와 하드디스크 10여 개 등 압수물을 확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