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오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하고 있다. 황진환 기자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는 14일 지난해 6월 효력이 정지된 9.19 남북군사합의에 대해 "당시와 역순으로 정부가 국무회의 의결로 선조치를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는 이날 국회 외통위 인사청문회에서 '남북의 우발적 충돌을 막기위해 핫라인 복구와 군사합의 복원이 필요하다'는 조정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지적에 "말이 아니라 행동으로 새 정부의 철학을 보여줘야 한다"며 "그 중의 하나가 9.19 군사합의의 복원조치"라고 말했다.
정 후보자는 "남북대화가 막힌 게 6년인데 국무회의 의결로 일방적인 조치, 선조치를 할 수 있다"며 "그러고 난 뒤 대화국면이 조성되면 남북이 이를 재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 후보자는 '이런 9.19 군사합의 복원의 선조치가 정부 입장인지 개인 입장인지'를 묻는 검건 국민의 힘 의원의 질의에 "제가 장관이 되면 정부 입장이 되는 것이지만 아직은 개인 입장"이라며 "(당시와) 역순으로 되돌리자는 얘기를 아이디어 차원에서 말씀 드린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 정부, 최악 업적은 '전술핵 사용' 北 언술 나온 것"
지난 2018년 9·19 군사합의에 따라 남북이 DMZ 내 GP(감시초소) 철거하는 모습. 사진공동취재단정 후보자는 '북한이 군사합의를 위반한 것이 4천회 이상인데 우리기 일방적으로 합의를 복원하는 것은 문제'라는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의 지적에는 "지난해 6월 9.19 군사합의의 효력정지 전후를 보면 계엄이 한창 준비되던 때로 이것과 맞물려 있다고 생각한다"며 "결국 (군사합의 효력정지를) 국내 정치에 이용한 것이고 그래서 되돌릴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 후보자는 '북한의 핵이 이미 확정된 시점에 힘의 균형 대신 대화와 외교로 항구적 평화가 가능 하느냐'는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북한의 핵 무력 고도화는 이명박, 박근혜, 윤석열 정부 때 이뤄진 일로 거기에 대한 반성이 선행되어야 한다"며 "민주(당) 정부 때에는 북한의 핵 위협은 없었다"고 말했다.
정 후보자는 그러면서 "윤석열 정부의 최악의 업적은 북한의 전술핵 사용이라는 최악의 언술이 나온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