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이진숙 "의대 학사 유연화, 여러 상황 종합적으로 고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핵심요약

인사청문 서면질의 답변서…"대학·학생과 소통해 의대교육 정상화 모색"
'논문 표절·중복게재 의혹' 부인…"대입정책은 사회적 합의에 기반해 신중히 검토"

황진환 기자황진환 기자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의대 학사 유연화' 여부와 관련해 "대학별 복귀 상황과 교육 여건 등 다양한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 후보자는 14일 국회에 제출한 인사청문회 서면질의 답변서에서 "장관으로 임명된다면 교육 주체인 대학과 당사자인 학생들과의 소통·의견 수렴 등을 통해 의대 교육 정상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의대 증원에 대해서는 "대국민 의료 서비스 증진을 위해 적정 수준의 지역·필수·공공의료 인력 확보가 필요하다는 입장에 동의한다"고 밝혔다. 
 
다만 "필요한 의료인력 양성 규모는 보건복지부 소관 의사인력 추계기구를 통해 의료계·각계 전문가가 참여해 결정하는 것으로 안다"며 "장관으로 임명된다면 양성 규모에 따라 양질의 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둘째 딸이 중학교 3학년 1학기만 마치고 미국 유학을 떠나는 과정에서 초·중등교육법을 위반한 데 대해서는 "부모 모두가 동반 출국해야 한다는 규정을 알지 못해 실수한 부분이 있었다. 규정을 위반한 부분에 대해 송구하다"고 말했다.
 
'제자의 학위논문을 학술지에 발표하면서 자신을 제1저자로 올렸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논문 저자 자격은 기여도 등에 따라 공동 저자 간 합의에 따라 결정하는 것으로 안다"며 "이 원칙에 따라 본인의 기여도가 높은 논문은 본인을 제1저자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논문 중복 게재 의혹에 대해서도 "지적된 두 논문을 포함해 2007년부터 2019년 사이에 발표한 학술논문과 관련해 부당한 중복 게재 등의 연구부정은 없다고 판정됐다"며 "전문가로 구성된 별도 위원회가 연구 윤리 검증을 엄격히 시행한 것으로 안다"고 해명했다.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으로 사립대가 소외당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이 정책은 지역 거점국립대의 우수한 교육·연구·인프라 등을 타 대학과 공유·협력해 지역대학 전반의 교육·연구 경쟁력을 끌어 올리기 위한 프로젝트"라고 강조했다.
 
수능에 서·논술형을 도입하는 등의 대입제도 개편과 관련해서는 "대입 정책은 사회적 합의에 기반해 수립돼야 한다"며 "사전예고제(4년)를 준수하고, 예측 가능성, 대입 안정성, 현장 수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0

1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