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경제연구소(KEI)는 1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한미 관세 협상을 주제로 대담을 개최했다. 연합뉴스안세령 주미대사관 경제공사는 14일(현지시간) 한미 관세 협상과 관련해 "양국간 무역 제한보다는 제조업 협력을 확대하는 방안으로 접근해야한다"고 밝혔다.
안 공사는 이날 한미경제연구소(KEI) 주최 대담에서 "상호 호혜적인 합의 도달을 목표로 향후 2주간 실질적인 대화에 속도를 내려고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한국과의 양자 무역에서 균형을 다시 잡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결심을 충분히 이해하지만, 비관세 장벽 해결과 제조업 협력 촉진이 함께 가야 한다고 믿는다"고도 했다.
이는 한국이 경쟁력을 갖고 있는 반도체와 조선 등의 산업 분야에서 미국의 제조업 재건을 돕는 대신 관세를 완화하는 방향으로 협상을 추진해야한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앞서 최근 관세 협상차 미국을 찾았던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도 "미국측에 '한미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을 제안했다"며 "미국은 조선과 반도체 같은 전략 분야에서 한미 협력에 큰 관심을 보였다"고 전하기도 했다.
또한 안 공사는 "자동차, 철강, 알루미늄, 의약품, 반도체 등 미국이 이미 부과했거나 향후 부과하겠다고 하는 '품목별 관세'는 한국의 대미 수출 절반 이상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미국이 '무역확장법 232조'에 의거해 부과한 품목별 관세 완화가 상호관세 만큼이나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미국이 비관세 장벽으로 거론하며 우려하고 있는 '플랫폼 기업 규제'에 대해서도 안 공사는 "미국 기업을 차별하려는 게 아니라 중소기업과 소비자를 보호한다는 취지"라며 "다만 이같은 우려를 이해하고 있으며, 미국 기업들이 한국 정부에 의견과 관점을 제시할 공정한 기회를 보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상공회의소의 아시아 담당 부회장 출신인 태미 오버비 올브라이트 스톤브리지 그룹 선임고문은 이날 "한국은 이미 미국의 주요 산업 분야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 원하는 바를 이미 하고 있었다"며 "양국간 협상에서 이런 점이 인정되지 않고 다른 나라와 같은 취급을 받는 것이 안타깝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