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 당국이 7일 오전 인천 굴포하수종말처리장에서 맨홀 사고 실종자 수색 작업을 하고 있다. 인천소방본부 제공인천시 계양구에서 발생한 맨홀 사망사고와 관련해 다중 하청구조에 따른 이른바 '위험의 외주화'를 원천 차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6일 민주노동당 인천시당은 최근 병방동에서 벌어진 맨홀 사망사고의 원인으로 4중 하청구조를 지적하면서 "위험의 외주화를 반드시 멈춰야 한다"고 밝혔다.
민주노동당 측은 "사고의 원인은 명백하다. 원청에서 하청으로, 하청에서 또 하청으로, 그 하청이 또 일용직 노동자를 고용한 4중 하청구조였기 때문이다"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하청 단계가 내려가면서 비용을 줄이려다 보면 노동 조건은 열악해지고, 관리 감독은 소홀해질 수밖에 없다"며 "기업의 이윤보다 사람의 목숨이 중요하다는 당연한 명제를 이제라도 제대로 약속하자"고 촉구했다.
이번 사고는 오·폐수 관로 조사 업체의 일용직 근로자 A(52)씨와 대표 B(48)씨가 산소마스크와 가스 측정기 등 안전 장비를 제대로 갖추지 않은 채 지난 6일 오전 인천시 계양구 병방동 맨홀 안에 들어갔다가 발생했다.
A씨는 맨홀 속 오수관로 물살에 휩쓸려 실종됐다가 하루 만에 숨진 채로 발견됐고, 심정지 상태로 구조된 B씨도 끝내 사망했다.
이 업체는 인천환경공단이 발주한 차집관로(오수관) GIS(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구축용역의 재하도급 업무를 담당한 것으로 확인됐다.
인천환경공단은 하도급을 금지했으나 용역 업체는 다른 업체에 하도급을 줬고, 하도급업체는 또 다른 업체에 재하도급을 준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