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후보자는 최우선적으로 추진할 4가지 정책 목표로 '공교육에 대한 국가책임 강화, 교사와 학생 모두 행복한 학교 조성, AI 교육 혁신을 통한 미래인재 양성, 교육을 통한 지역 혁신 및 국가 균형 발전'을 들었다.
이 후보자는 16일 인사청문회 모두 발언에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으로서의 자질과 업무 수행 능력을 검증받기 위해 겸허한 마음으로 이 자리에 섰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후보자는 "지난 36년간 교육자로서 대학에서 근무했고, 지역 거점 국립대학의 총장과 '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 회장 등을 역임하며 우리 교육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해 왔다"며 "그간의 경험과 고민을 바탕으로 이재명 정부의 교육정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최우선적으로 추진할 4가지 정책 목표를 제시했다.
가장 먼저 "공교육이 안타깝게도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해 왔다"며 "공교육에 대한 국가책임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학부모의 부담을 덜 수 있도록 국가가 책임지는 교육·돌봄을 실현하고, 누구도 배움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기초학력 관리 체계를 탄탄히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교사와 학생이 모두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며 "교사들이 아무 걱정 없이 교육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교권 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학부모들도 학생을 안심하고 보낼 수 있는 안전한 학교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어 "인공지능(AI) 교육 혁신으로 미래인재를 양성하는 데 힘쓰겠다"며 "우리나라가 'AI 3강'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초·중·고 단계에서부터 디지털 문해력과 AI 기초역량을 강화해 AI 인재가 자라날 수 있는 사회의 저변을 튼튼히 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교육의 힘으로 지역 혁신을 이끌고 국가 균형 발전을 실현하겠다"며 "국가 전체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수도권에 교육자원이 집중되지 않도록 지역의 교육 여건을 개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지방에 있는 저를 교육부 장관으로 지명한 이유를 되새기며,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통해 지역 거점대학에 대한 전략적 투자와 체계적 육성을 추진하고, 수도권 중심의 교육 불균형을 해소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소외되는 지역대학이 없도록 국립대학과 사립대학이 동반 성장하는 자원 공유체계를 구축하겠다"고도 했다.
이 후보자는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교육 현장과 끊임없이 소통하고, 교육 현장의 지혜와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국가교육위원회, 시도교육청, 대학과 협력적 거버넌스를 구현하고, 국민의 대표인 국회와도 긴밀하게 협의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