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민주당 보좌진마저…더 위태로워진 강선우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1호 낙마' 전망은 묘하게 바뀌는 기류

민보협 역대 회장단 "강선우 사퇴"…커지는 李대통령 부담
참여연대·여성단체도 사퇴 요구하면서 입지 좁아져
'1호 낙마' 거론되던 이진숙, '유학' 사과하고 '논문표절' 해명
이진숙 적극 엄호 나선 민주…"처음부터 불신 없었다"

강선우 여성가족부 후보자와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연합뉴스강선우 여성가족부 후보자와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연합뉴스
인사청문회 정국에서 논란의 핵심에 선 강선우 여성가족부·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를 두고 대통령실과 여권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강 후보자는 더불어민주당 보좌진협의회(민보협) 역대 회장단과 수행보좌진협의회, 친민주당 성향 시민단체들까지 사퇴를 촉구하고 나서면서 설 자리가 더욱 좁아지는 모양새다.

반면 이 후보자는 당초 여권 내에서도 '1호 낙마'로 예상됐지만, 여야의 공방이 팽팽해지면서 도리어 버티는 쪽으로 선회하는 분위기다.

터져 나오는 강선우 비토…커지는 李대통령 부담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발언하고 있다. 윤창원 기자더불어민주당 김병기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발언하고 있다. 윤창원 기자
민보협 역대 회장단은 16일 입장문에서 "보좌진의 인격을 무시한 강 후보자의 갑질 행위는 여가부장관은 물론 국회의원으로서의 기본적 자세조차 결여된 것"이라며 그의 사퇴를 요구했다. 특히 청문회 과정에서 강 후보자의 태도를 지적하며 '거짓 변명', '감성팔이', '본질을 벗어난 자기방어'라고 날을 세웠다.
 
이는 전날 민보협이 김병기 원내대표 겸 당 대표 직무대행과 간담회에서 "처우 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논의체계를 요구했다"면서도, "국민의힘과 국민의힘 보좌진협의회의 정치공세에 흔들리지 않겠다"고 미온적인 입장을 보인 것과 대비된다.

민보협 회장을 지냈던 보좌진들 가운데는 현재도 대통령실 또는 민주당 의원실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이 상당수다. 때문에 전날 민보협의 입장과 달리 역대 회장단이 강 후보자 사퇴를 요구하고 나선 점은 인사권자인 이재명 대통령의 부담을 훨씬 커지게 하고 있다.

더욱이 이날엔 민주당 수행보좌진 협의회도 나서서 민보협에 대해 "조직의 체면을 지키기 위한 면피성 입장문을 냈다"며 "보좌진의 이름으로 가해자를 비호하고 조직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한 것"이라고 맹공했다. 그러자 고건민 민보협 회장은 이날 SBS와 인터뷰에서 "강 후보가 정말 당을 생각하는 마음이 있다면 거취 결정을 본인이 스스로 해주시는 것이 맞지 않을까"라며 사퇴를 요구했다.

의혹도 추가됐다. MBN은 이날 강 후보자가 21대 총선에서 당선된 뒤 이사를 하는 과정에서 보좌진을 동원했다는 복수의 증언을 확보했다고 보도했다. 강 후보자 측은 "보좌진들이 이사를 도와준다고 왔던 건 사실이지만, 이삿짐 센터가 있었던 만큼 도와줄 것은 없고 식사를 같이 하자고 권유했다"고 설명했다고 한다.

참여연대도 이날 논평에서 강 후보자에 대해 "보좌진 '갑질' 논란은 국회의원이라는 우월적 지위를 이용해 공적 권한을 사적으로 남용한 것으로 중대한 결격사유"라며 "의혹에 대해 책임 있는 해명 대신 변명과 거짓 해명으로 고위공직자와 정부에 대한 신뢰마저 무너뜨리고 있다"고 사퇴를 촉구했다.
 
전날 한국여성정치네트워크·한국여성단체연합 등 여성단체들도 강 후보자가 여가부 장관으로 부적절하다는 입장을 밝혔는데, 친민주당 성향의 대표적인 시민단체에서도 나선 셈이다. 강 후보자의 입지가 더욱 좁아지는 이유다.
 
대통령실 우상호 정무수석은 이날 '오마이TV' 유튜브에서 강 후보자와 관련해 "여론과 국민의 눈높이도 중요하니 국민이 후보자의 해명을 받아들이고 있는지 다각적으로 검토 중"이라면서도 "아직은 어떤 판단을 갖고 있지는 않다"고 말했다.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소속의 한 민주당 의원은 "강 후보자에 대한 결정은 당의 손을 떠났다. 이 대통령이 고독하게 결단할 수밖에 없다"면서도 "더 위태해진 것은 사실로 보인다"고 말했다.

당초 '1호 낙마' 거론됐지만 '팽팽' 이진숙


반면 이 후보자를 두고는 아직 여야의 공방이 팽팽하다. 이날 청문회에서 이 후보자는 자녀 불법 유학 의혹에 대해 "진심으로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고개 숙여 사과했다.
 
그러면서도 논문 표절 의혹에 대해선 적극적으로 해명했다. 이 후보자의 설명에 따르면 이공계에서는 공동 연구자들끼리 논문 작성 기여도를 따져 제1저자를 결정하는데, 지도교수가 과제를 수주해 오면 학생은 이를 발전시켜 학위 논문으로 쓴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학위 논문 연구는 지도교수가 수행하는 연구과제의 일부분이 될 수밖에 없어, 이 과정에서 기여도에 따라 자신을 제1저자로 하는 경우가 있었다는 해명이다.
 
당초 이 후보자는 청문회 전부터 각종 의혹이 제기돼 여권에서도 '낙마 1순위'로 꼽혔다. 민주당 원내지도부 소속의 한 의원은 "회의에서 '국민 감정이 가장 우선 아니냐'는 말이 나오기도 했다"며 "가장 우려스러운 후보인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정작 청문회가 열리자 이 후보자 본인은 적극 해명에 나섰고, 여당 의원들도 이와 같은 해명에 합당한 부분이 있다며 적극 엄호에 나섰다. 강 후보자와 관련된 논란이 당초 예상보다 커지면서 야당의 공세가 이 후보자 쪽으로 옮겨가자, 이를 의식해 방어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의 한 민주당 의원은 "교육위에서는 처음부터 이 후보자에 대해 불신이 없었다. 이재명 정부 초대 내각에서 함께할 수 있는 인물이라고 생각했다"며 "청문보고서 채택도 야당과 합의해서 하게 될 것"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