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23년 7월 채상병 사고를 수사한 당시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에게 수사 외압을 가한 의혹을 받는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이 지난 7일 오전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 특검 사무실에 조사를 받기위해 출석하고 있다. 류영주 기자순직해병 특검이 'VIP 격노설'을 최초 전달한 인물로 지목된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을 다시 불러들였다.
김 전 사령관은 이날 오전 10시 25분쯤 서울 서초동 특검 사무실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했다. 그는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를 받는다.
김 전 사령관의 특검 출석은 지난 7일에 이어 두번째다. 첫 출석에서 12시간 이어진 조사를 받았다.
이날 그는 '윤 전 대통령의 격노가 여전히 사실이 아니라고 생각하나'. '당일 회의 참석자들이 윤 전 대통령이 격노했다는 것을 인정했는데 본인은 부인하는 입장인가' 등 취재진 질문에 답하지 않았다.
김 전 사령관은 2023년 7월 채상병 순직 사건 당시, 초동 조사한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에게 외압 등 수사에 개입한 의혹을 받고 있다.
특검은 김 전 사령관을 'VIP 격노설'의 실체를 밝힐 주요 인물로 보고 있다.
VIP 격노설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2023년 7월 31일 오전 대통령실 회의에서 채상병 순직 사건과 관련한 조사 결과를 보고 받은 뒤, "이런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할 수 있겠냐"며 격노했다는 의혹이다.
이로 인해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언론브리핑과 경찰 이첩을 보류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낳고 있다.
통화기록에 따르면 김 전 사령관은 2023년 7월 31일 오전 11시 57분 이종섭 전 장관과 통화했고, 당일 오후 5시에는 임기훈 당시 대통령실 국방비서관과 약 3분간 통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채상병 순직 사건 수사외압을 폭로한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이 16일 오후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 특검 사무실에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하고 있다. 황진환 기자
박정훈 대령은 김 전 사령관이 같은 날 오후 5시쯤 자신을 사령관 집무실로 불러 윤 전 대통령의 격노 사실을 전해줬다고 밝혔다. 김 전 사령관은 이를 부인 중이다.
하지만 최근 특검 조사를 받은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 이충면 전 국가안보실 외교비서관과 왕윤종 경제안보비서관 등 당시 회의에 참석한 복수의 관계자가 격노설을 목격했다는 취지의 진술을 내놓으며 사실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이 때문에 격노설을 부인해 온 김 전 사령관의 진술도 이날 달라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특검팀은 이날 오전 10시 이충면 전 비서관도 다시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 중이다. 이 전 비서관은 지난 15일 소환돼 조사받은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