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가상화폐 관련 법안인 '지니어스 법안'이 미국 의회 하원을 통과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만 남겨뒀다. 트럼프 행정부의 친(親)암호화폐 정책이 탄력을 받을 것이란 전망이다.
미국 하원은 17일(현지시간) 본회의를 열고 스테이블코인의 규제 틀을 마련하는 '지니어스 법안'(Genius Act)을 찬성 308표 대 반대 122표로 가결 처리했다.
법안은 스테이블코인의 법정 정의, 발행 절차, 공시 의무 등을 규정해 스테이블코인 사용을 촉진하는 데 필요한 규제의 틀을 마련한다는 취지다.
구체적으로 스테이블코인 발행사가 미국의 자금세탁금지법과 제재법을 준수하고 미국 달러와 단기 국채 등 유동성 자산을 담보로 보유하도록 규정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그동안 가상화폐 업계는 이런 입법을 수년간 로비해왔으며 지난해 대선과 의회 선거에서 가상화폐에 우호적인 후보들에게 1억1900만달러가 넘는 선거자금을 지원했다.
지니어스 법안은 지난달 상원을 통과했으며 "미국을 세계의 가상화폐 수도로 만들겠다"고 약속한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하면 발효된다.
민주당 의원 다수도 법안에 찬성했지만 일부는 트럼프 대통령이 재임 기간 가상화폐 사업으로 사적 이익을 취하지 못하게 하는 조항을 법안에 포함해야 한다며 반대했다고 AP통신은 전했다.
법안에는 의원 및 그 가족이 스테이블코인으로 이익을 얻는 것을 금지하는 조항이 있지만 대통령과 그 가족에는 해당하지 않기 때문이다.
트럼프 일가가 소유한 가상화폐 기업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은 자체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이 기업의 가상화폐 판매를 통해 5735만달러를 벌었다.
이날 하원에서는 지니어스 법안을 포함해 가상화폐 법안 3건이 통과됐다.
두 번째 법안인 '디지털 자산 시장 명확성 법안'(클래러티 법안)은 암호화폐가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의해 증권으로 규제되는지 아니면 상품선물거래위원회가 감독하는 상품으로 규제되는지 규제 당국을 정하는 등 가상화폐 규제를 명확히 했다.
세 번째 법안은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디지털 화폐를 만드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다. 연준이 달러 뿐 아니라 디지털 화폐까지 발행한다면 미국인들의 개인 재정에 너무 많은 통제력을 행사할 것이란 우려 때문이다.
이 두 법안은 이제 상원에서 논의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