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현 전 국방부장관과 추락한 무인기 사진. 연합뉴스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지난해 '평양 무인기 침투 작전'을 주관한 합동참모본부로부터 '작전 중단' 의견을 받고도 강행하려 한 정황을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포착해 수사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CBS노컷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내란특검은 지난해 11월 22일쯤 김 전 장관이 무인기 작전을 두고 김명수 합동참모의장과 설전을 벌인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북한은 지난해 10월 11일 "대한민국이 보낸 무인기가 세 차례에 걸쳐 평양에 침투해 삐라(전단)를 살포했다"고 발표했다.
당시 합참을 비롯한 우리 군은 평양에 무인기를 보낸 사실을 인정하지 않으며 북한의 입장 발표에 무대응으로 일관했다.
그런데 합참 내부에선 발사한 무인기가 실종되자 다른 곳에 추락한 것으로 알았지만, 북한이 추락한 무인기를 공개하자 심각하게 우려했다고 한다.
이에 김 의장은 김 전 장관에게 "무인기를 그만 보내면 안 되나"라는 취지로 문제를 제기했고, 이 때문에 김 전 장관과 크게 설전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김 전 장관은 북한의 오물풍선에 대한 원점 타격 지시를 두고도 김 의장과 설전을 벌였다는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이기헌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제보에 따르면 김 전 장관은 지난해 11월 28일 김 의장에게 '북에서 오물풍선이 날아오면 경고사격 후 원점을 타격하라'고 지시했다. 김 의장이 우려를 표하자 김 전 장관이 "개념이 없다"며 폭언을 했다는 게 이 의원 설명이다.
특검은 김 전 장관이 합참의 우려에도 무인기 작전 등을 강행한 의도가 무엇인지, 비상계엄 선포의 명분을 만들려 한 것 아닌지 들여다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