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KAIST, 빛으로 '단백질·mRNA' 원할 때 꺼내 쓰는 기술 개발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KAIST 생명과학과 이채연 박사(왼쪽), 허원도 교수. KAIST 제공KAIST 생명과학과 이채연 박사(왼쪽), 허원도 교수.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과학과 허원도 석좌교수 연구팀이 물리학과 박용근 석좌교수 연구팀과 협력해 단백질 및 mRNA를 세포 내에서 빛으로 원하는 시점에 저장하고 방출할 수 있는'릴리저 기술(RELISR)'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세포 내 다양한 생체 분자가 막이 없는 응축체에 저장돼 기능을 조절한다는 최신 세포기능 조절 원리를 빛으로 구현한 기술이다.
 
연구팀은 특정 분자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표적 부위가 부착된 광유전학 단백질 복합체를 증폭해, 빛 반응 분자 저장·방출 시스템인 릴리저 기술을 설계했다. 이를 통해 세포 및 생체 내에서 특정 단백질 혹은 mRNA를 릴리저에 안정적으로 저장해 빛을 비추면 원하는 시점에 방출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연구팀은 다양한 세포주와 신경세포, 그리고 생쥐 간 조직 등에서 해당 시스템의 효과를 입증했다.
 
연구팀은 단백질을 저장⸱방출하는 단백질 방출시스템인 '단백질 릴리저 (Protein-RELISR)'를 통해 세포 모양 변화, 신경세포 내 국소 단백질 활성 등 미세 환경에서의 생화학 반응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또 mRNA를 표적으로 하는 mRNA 방출시스템인'mRNA 릴리저 (mRNA-RELISR)'를 활용해, mRNA가 세포질 내에서 번역될 시점을 빛으로 조절하는 데 성공했으며, 실제 생쥐 모델에서도 mRNA 번역 조절이 가능함을 확인했다.
 인공 응축물 시스템 (RELISR) 개요. KAIST 제공인공 응축물 시스템 (RELISR) 개요. KAIST 제공
허원도 석좌교수는 "릴리저 플랫폼은 광유전학 원리를 기반으로 단백질과 mRNA를 원하는 시간, 장소에서 저장하고 방출할 수 있는 범용 도구로, 뇌 신경세포 연구나 세포치료제, 차세대 신약 개발 등에 폭넓게 응용될 수 있다"며 "향후 유전자 가위 시스템 등과의 결합이나, 조직 특이적 전달 기술과 접목할 경우, 더욱 정밀한 치료 도구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KAIST 생명과학연구소 이채연 박사가 제1저자로 주도한 연구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지난 7일자로 게재됐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