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SK하이닉스는 4일 임금인상률 6%와 새로운 PS(Profit Sharing, 성과급) 기준을 담은 임금 교섭 잠정 합의안이 노동조합 대의원 투표를 통해 타결되었다고 밝혔다.
이로써 SK하이닉스 노사는 지난 5월부터 진행된 임금 교섭을 마무리 했다. 이날 투표는 95.4%의 역대 최고 찬성률로 통과됐다.
이번에 타결된 합의안은 매년 영업이익의 10%를 성과급으로 지급하되, 개인별 성과급 산정 금액의 80%는 당해년도 지급, 나머지 20%는 2년에 걸쳐 매년 10%씩 지급하는 방식을 골자로 한다. 특히 10년간 기준을 유지하기로 했다.
기존에도 '영업이익의 10%를 성과급 재원으로 활용한다'는 조항은 있었지만, PS 상한 기준에 따라 영업이익의 10%가 모두 활용되지 못했다. 이에 노조는 재원인 영업이익의 10%를 성과급으로 전액 지급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교섭 결렬 및 창사 이래 첫 조합원 총력 투쟁 결의대회에 나서는 등 사측과 갈등을 빚은 바 있다.
변경된 기준에 따라 SK하이닉스 직원들은 평균 1억원 수준의 성과급을 받을 전망이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증권사들의 컨센서스(실적 전망치)를 집계한 결과, SK하이닉스의 올 한해 영업이익은 37조1989억원으로 추정된다.
잠정합의안에 따른 PS 재원은 약 3조7천억원(10%)이다. 개인별 연차나 성과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단순 계산으로 SK하이닉스의 전체 구성원이 3만3천여명(6월 말 기준)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구성원 1인당 총 1억1천만원 수준의 성과급(PS)을 받게 되는 셈이다.SK하이닉스는 성과급의 일부는 2년에 걸쳐 이연 지급해 회사의 재무건전성과 보상 안정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윈-윈(Win-Win) 효과를 얻게 되었고, 이는 회사와 구성원 모두가 장기적 성장 관점에서 접근한 사례라고 자평했다.
아울러 10년간 기준을 유지한다는 원칙으로 제도의 장기적인 지속가능성과 회사와 구성원 간 신뢰 확보. 이를 통해 매년 반복되는 논란을 원천적으로 제거하고 구성원이 일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됐다고 부연했다.
특히 기준(Rule) 정립 과정에서 구성원의 직접 참여와 제안, 토론으로 합의를 이루며 'SK의 기업문화'가 지닌 근원적이고 차별적인 경쟁력을 재확인 시켜줬다고 강조했다.
이번 합의는 내부적으로 회사 성과의 파이(Pie, 규모)를 키우자는 동기 부여 효과와 더불어, 고성과자에 대한 보상 확대 등 성과주의에 기반한 보상 체제를 강화해, 우리 사회의 의대 선호 현상을 전환시키며 국내외 이공계 우수 인재를 확보, 유지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고 SK하이닉스는 설명했다.
한편 SK하이닉스 노사는 오는 5일 임금협상 조인식을 진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