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으로 양대 노총 위원장을 만나 "노사가 대화해서 오해를 풀고 입장 조정을 위한 토론을 많이 해야 한다"며 대통령 직속 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참여를 요청했다.
이 대통령은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양경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김동명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과 오찬 회동을 갖고 "'노동 존중 사회'나 '기업하기 좋은 나라'는 상호 대립적인 게 아니고 충분히 양립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해당 자리엔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과 대통령실 문진영 사회수석, 강유정 대변인 등이 배석했다.
이 대통령은 "요새 제가 산재, 임금체불 얘기를 많이 했더니 노동 편향적이라고 주장하는 데가 있던데 저는 전혀 그렇게 생각 안한다"며 "누구의 편을 얘기하기 전에 기본적 인권과 상식, 도리에 관한 문제"라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임금체불이나 산재나 목숨과 삶에 관한 기본 문제인데 그걸 가지고 '친노동', '친기업' 하는 건 아닌 것 같다"며 "오히려 요즘 기업인들 접촉이나 간담회를 많이 하면서 노동자 조직은 한 번도 안 봐서 (초청했다)"고 덧붙였다.
이에 김동명 위원장이 "원래 문제 있는 사람들과 자주 만나는 게 아니냐"고 말해 웃음을 자아내자, 이 대통령은 "왜 이리 공격적으로 나오시냐"고 답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 사회가 근본적으로 한 단계 도약하려면 사회 안전망, 기업 부담 문제, 고용 안정성과 유연성 문제 등을 터놓고 논의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기업 입장에서 다 비정규직화 하고 외주를 주면 노동계 전체 입장에선 좋은 일자리가 사라져 악순환"이라며 "(문제를 푸는) 첫 출발이 마주 앉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정부가 중립적, 객관적으로 잘 해야 한다"며 "경사노위도 조직을 못하고 있는데 그 문제도 같이 논의하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1998년 외환위기 극복을 위해 발족한 경사노위는 민주노총은 논의에 들어오지 않은 채 운영됐으나 한국노총마저 지난해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참여를 중단했다.
연합뉴스이 대통령은 최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해 국무회의 의결을 거친 노란봉투법에 대해선 "사용자 측에 너무 불리한 게 아니냐는 걱정을 해서 '그럴 일이 별로 없다. 법원이 인정하는 걸 입법화한 것뿐'이라고 열심히 설명해도 잘 안 믿는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그간 사회적 대화는 정부의 입장을 관철하거나 정당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락하면서 제 기능을 하지 못했던 측면이 있다"면서 "노정 교섭을 통해 노정 간 신뢰를 회복하고 대화의 효용성을 확인하는 게 선행돼야 한다"고 답했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대통령이 각 경제 주체들을 모아서 일정 기간 동안 숙의를 진행해주고 그 안에서 사회적 대타협을 선언하자"면서 65세 정년 연장과 주 4.5일제 시범 사업 도입 논의 필요성을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