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주4.5일제는 먼 얘기" 주6일 일하는 부산지하철 환경사들, 파업 예고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부산지하철 환경사들 "주5일제·4조2교대 도입해야"
'인력 충원' VS '인력 재배치' 통한 주5일제…노사 간 이견
지노위 조정 결렬 시 17일 파업 돌입 예고

부산지하철 환경사들이 4일 부산시청 앞에서 건강하게 일할 권리와 노동시간 단축 등을 요구하며 파업 사전 결의대회를 열었다. 김혜민 기자 부산지하철 환경사들이 4일 부산시청 앞에서 건강하게 일할 권리와 노동시간 단축 등을 요구하며 파업 사전 결의대회를 열었다. 김혜민 기자 
부산교통공사 자회사인 부산도시철도 운영서비스 노동자들이 오는 17일 전면 파업에 돌입하겠다고 선언했다. 노조는 주6일제와 야간 연속 근무 등 '시대착오적 노동'을 더는 감내할 수 없다며 부산시와 부산교통공사를 상대로 책임 있는 해결을 요구했다.
 
부산지하철노조 운영서비스지부는 4일 오전 10시 부산시청 앞에서 파업 사전 결의대회를 열고 "주5일제와 4조 2교대 도입을 통해 장시간 노동 문제를 해결하라"고 외쳤다.
 
노조 측은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공약으로 내세운 주4.5일제 도입이 논의되고 있지만 부산지하철 청소노동자들은 주6일제 근무와 야간 연속 근무에 시달리고 있다"며 "부산시와 부산교통공사는 해결책을 내놓지 않고 있는데 계속해서 방관한다면 오는 17일 전면 파업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40년간 유지돼 온 지하철 역사와 차량 청결은 청소노동자들의 질병과 맞바꾼 대가"라며 "노조 설문조사 결과 청소노동자 75%가 불면증과 만성피로, 근골격계 질환 등 질병을 호소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부산교통공사 자회사인 부산도시철도운영서비스 소속 노동자들로, 주로 '환경사'로 불리며 지하철 역사와 전동차, 차량기지, 터널 등의 청소 업무 등을 담당하고 있다. 노조에 따르면 청소노동자 평균 연령은 60세로, 중·장년층 여성이 대다수다. 3조 2교대 주6일 형태로 근무하고 있다.
 
앞서 지난 2021년 2월 문재인 정부 당시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동자 정규직화 정책에 따라 부산교통공사가 100% 출자한 자회사가 생겼다. 하지만 기존 22개 용역업체에 주던 용역 계약비와 인력 조건을 그대로 적용해 외형상 '고용 안정'은 이뤄졌지만 처우 개선 등 문제는 그대로 남아 있다.
 
이날 발언에 나선 한옥녀 운영서비스지부장은 "자회사가 출자한 지 4년이 지났음에도 용역 시절 예산과 인력에 기초해 설계된 장시간 노동과 직렬별 들쭉날쭉한 노동 조건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며 "부산교통공사와 공사 자회사는 열악한 처우를 알면서도 서로 나 몰라라 하고 있고 부산시도 뒷짐만 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4일 공공운수노조 부산지하철노조 운영서비스지부가 부산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파업 투쟁 결의문을 낭독하고 있다. 김혜민 기자 4일 공공운수노조 부산지하철노조 운영서비스지부가 부산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파업 투쟁 결의문을 낭독하고 있다. 김혜민 기자  
이에 대해 부산교통공사는 자회사가 별도 법인으로 등록된 만큼 자율적인 교섭을 통해 합의해야 할 문제라는 입장이다.

부산교통공사 관계자는 "파업 돌입 시 시민 불편이 없도록 대책 등을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면서도 "(노조 측 주장에 대해) 자회사는 공사와 별도 법인으로 등록돼 있는 만큼 자회사 노사가 자율적인 교섭을 통해 합리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게 적절하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부산시 역시 자회사 노사 간 협의를 통해 해결해야 할 사안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자회사는 부산교통공사와는 다르게 민간 기업이다. 독립된 경영권을 갖고 있는 법인인 만큼 경영 자율성 등을 고려할 때 시가 예산을 지원하거나 지시를 내리는 등 직접 관여할 수 없다"며 "노사 간 협의를 통해 해결해야 할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부산지하철노조 운영서비스지부는 사측인 부산도시철도운영서비스와 지난 5월 14일부터 7월 17일까지 9차례에 걸쳐 임금 단체 교섭을 벌여왔다. 하지만 '주5일제'를 두고 노사 간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해 끝내 결렬됐다.
 
노조는 인력 충원을 통한 주5일제 도입을 요구했지만, 사측은 역사 청소 기계화 등을 추진 중인 만큼 인력 재배치를 통한 주5일 근무를 주장했다. 이에 노조는 지난 3일 지방노동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했다. 조정이 최종 결렬되면 오는 17일부터 전면 파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