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산업통상자원부 제공산업통상자원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8일 한미 관세협상과 관련해 "미일 협의 내용 등을 감안해 향후 우리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국익에 가장 부합하는 방향으로 미국 측과 밀도 있는 협의를 지속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여 본부장은 이날 서울 중구 대한상의에서 열린 제50차 통상추진위원회 회의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회의에선 최근 미국 정부의 대일 상호·품목 관세 인하 조치 동향을 분석하고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현지시간 지난 4일 미국과 일본의 무역 합의를 공식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일본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에 부과해온 25%의 품목별 관세를 15%로 낮춘다는 내용이 포함된 이 행정명령은 7일 내로 관련 절차가 게시된다.
반면 한국 정부는 미국과 후속 관세 협상을 마무리하지 못하면서 일본보다 불리한 상황에 놓이게 됐다. 한미 양국은 한국 자동차 관세를 15%로 인하하기로 했지만 아직 미국 정부의 구체적 조치 계획이 나오지는 않은 상태다.
회의 참석자들은 미국의 대일 관세 인하 발효 때 우리 기업이 겪을 어려움을 엄중히 인식하고 있다면서 우리 기업이 불리한 경쟁 환경이 놓이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해 후속 협의 과정에 임하자는 데 인식을 함께했다.
이날 회의에는 기획재정부, 외교부,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의약안전처, 국토교통부부, 특허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정거래위원회,환경부 등 20여개 관계 부처 국장급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관계부처들은 "미국의 대일 관세 인하 발효시 우리 기업이 겪을 어려움을 엄중히 인식하고, 기업이 불리한 경쟁환경이 놓이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해 후속협의 과정에 임하기로 했다"고 산업부가 전했다.
산업부는 "앞으로도 한미 관세 협상과 관련된 후속 협의에 대해 관계 부처와 긴밀한 원팀 체제를 바탕으로 미국 측과 협의를 지속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