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광주시당 제공더불어민주당 광주시당이 여성과 청년의 정치참여 확대, 사회적 약자 대변을 명분으로 도입한 '여성청년전략특구'가 내년 지방선거에서도 이어질지 관심이 모아진다.
하지만 공천 과정마다 '역차별' 논란이 반복돼 온 데다, 최근 광주CBS 노컷뉴스 여론조사에서도 반대 의견이 더 높게 나타나면서 논란은 여전하다.
민주당 광주시당은 2014년과 2018년 광역의원 선거에서 여성전략특구 4곳을, 2022년에는 청년전략특구 4곳을 더해 모두 8곳을 지정했다. 그러나 특구 지역이 늘 선거 직전에야 결정되면서 이미 입지를 다져 온 남성 예비후보들의 반발이 컸다.
2014년에는 경선을 불과 2주 앞둔 4월 말에야 선거구가 지정돼 이미 후보 등록을 마친 남성 예비후보들의 불만이 폭발했다. 2018년에도 마찬가지로 3월 말에 최종 결정이 내려지며 '늦장 결정'이라는 비판이 뒤따랐다. 2022년 역시 예외가 아니었다. 지방선거를 코앞에 둔 2021년 12월에서야 지역이 확정되는 등 번번이 같은 실책이 되풀이됐다.
올해 역시 경선 참여 자격을 부여하는 당원 모집 마감 시점인 8월 말까지 특구 지역이 확정되지 못했다. 지역 정가 안팎에서는 불필요한 갈등을 줄이려면 보다 신속한 특구 지역 선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실제 최근 CBS 여론조사에서도 전략특구가 운영되지 않은 전남에서는 필요성을 강조하는 목소리가 높았던 반면, 운영되고 있는 광주에서는 오히려 반대 의견이 더 많았다. 제도의 취지와 현실 인식 사이의 간극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치권 일각에서는 기초단체장 선거까지 전략특구를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지역 정가에서는 "여성청년전략특구의 정책적 목표와 필요성에는 공감대가 있다"면서도 "무엇보다 공천 룰을 조속히 확정해 불필요한 갈등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