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연대본부 제공국립대병원 노동자들이 공공의료 강화와 보건의료 인력 확충을 요구하며 공동파업에 돌입했다. 서울대병원을 포함한 4개 국립대병원 노동자들이 동시에 파업에 나선 것은 2004년 이후 21년 만이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는 17일 서울 숭례문 인근에서 공동파업 대회를 열고 "정부의 공공의료 방치와 병원 측의 무책임한 교섭 태도에 맞서 병원 노동자들이 직접 나섰다"고 밝혔다.
서울대병원·강원대병원·경북대병원·충북대병원에서 간호사, 간호조무사, 의료기사, 사무행정, 시설, 미화 등 다양한 직군의 조합원 약 8600명이 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이날 공동파업 대회에는 약 2천명이 참석했다.
이날 공동파업은 1차 경고파업의 성격으로 하루 동안 진행된다. 노조는 향후 정부가 구체적인 대책 약속을 하지않고 노사간 교섭에도 특별한 진전이 없을 경우 강력한 2차 파업에 돌입할 방침이다.
의료연대는 이번 파업을 시작으로 △공공의료·공공돌봄 확대 △보건의료 및 돌봄 인력 확충 △노동조건 개선 △의료민영화 저지와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등 4대 요구를 내걸었다.
서울대병원 박나래 분회장은 "서울대병원은 국가 중앙병원이라 자부하지만, 이제는 국가 중앙병원이 아닌 그냥 '서울병원'으로 전락할 위기에 놓여 있다"며 "정부에서는 공공의료를 강화하기 위해 복지부 이관을 추진하고 있지만, 서울대병원 경영진들인 교수들은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말로는 교육을 위해서 그런다고 하지만, 서울대 의대를 복지부로 이관하라는 것도 아닌데 말도 안 되는 핑계를 대고 있다"며 "복지부로 이관해 국립대병원 전체가 일관된 정책을 가지고 더 큰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북대병원 조중래 분회장은 "작년 3월 전공의 집단사직 이후, 의료공백을 메꾸는 것은 현장 간호사들의 몫이었다"며 "복지부는 부랴부랴 간호법을 개정해 진료지원업무를 제도화 한다고 했지만 여전히 현장은 혼란에 빠져있다"고 짚었다.
충북대병원 권순남 분회장은 "병원이 최대 적자를 기록하고 운영자금 차입까지 하고 있다"며 "정부가 공공병원의 재정위기를 외면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의료연대는 이날 파업 후 공공운수노조 산별 파업대회에 합류하고, 대통령실 방향으로 행진했다. 이들은 "이재명 정부가 국정과제로 내건 공공의료 강화는 말뿐"이라며 "정부와 병원 사용자들이 책임 있는 자세로 나서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의료연대본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