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공동취재단비수도권 대학의 2026학년도 수시 모집 지원자가 10.2%나 늘어난 반면, 수도권은 1.4% 늘어나는데 그쳤다.
입시 불확실성에 따른 안정지원 추세 속에, 경기 침체 등으로 비수도권 학생들이 무리하게 수도권 대학 지원을 기피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종로학원이 21일 '2026학년도 전국 192개 대학 수시 모집 현황'을 분석한 결과, 비수도권 소재 110개 대학의 지원자는 2025학년도에 비해 10.2%(10만4272명)이 늘어난 반면 서울권 42개 대학은 2.1%(1만8818명), 경인권 40개 대학은 0.1%(511명) 늘어나는데 그쳤다.
권역별로는 대구·경북이 12.4%(2만2044명) 늘어 가장 높았고, 이어 강원 11.7%(7384명), 충청 10.6%(3만9274명), 호남 9.8%(1만5662명), 부산·울산·경남 8.0%(1만9224명), 제주 7.8%(684명) 순이었다.
전체 평균 경쟁률은 9.42대1에서 9.77대1로 높아졌다. 서울권은 18.74대1에서 18.83대1, 경인권은 13.02대1에서 13.08대1로 소폭 상승한 반면, 비수도권은 5.98대1에서 6.49대1로 크게 상승했다.
비수도권 경쟁률은 대구·경북 6.47대1→7.30대1, 충청 6.53대1→7.12대1, 강원 6.10대1→6.80대1, 부산·울산·경남 5.79대1→6.23대1, 제주 4.88대1→5.21대1, 호남 4.89대1→5.08대1로 모두 크게 상승했다.
종로학원 제공수시 6회 지원 감안 시 사실상 미달로 추정할 수 있는 경쟁률 6대1 미만 대학도 68곳에서 53곳으로 줄었다. 지역별로는 호남이 18곳→16곳, 부산·울산·경남이 16곳→13곳, 충청이 20곳→13곳, 대구·경북이 8곳→7곳, 강원이 5곳→3곳으로 각각 줄었고, 제주는 1곳으로 같았다.
서울권은 42곳 중 20곳(47.6%), 경인권은 40곳 중 17곳(42.5%)이 지원자가 줄어든 반면, 비수도권 소재 대학은 110곳 중 16곳(14.5%)만 지원자가 줄었다. 지역별로는 부산·울산·경남이 25곳 중 6곳(24.0%), 충청이 38곳 중 5곳(13.2%), 호남이 23곳 중 3곳(13.0%), 대구경북이 15곳 중 1곳(6.7%), 강원이 8곳 중 1곳(12.5%)만 지원자가 줄었다.
전국 평균 경쟁률은 성균관대가 32.49대1로 가장 높고, 이어 한양대 30.99대1, 중앙대 30.39대1, 서강대 28.83대1, 건국대 25.81대1, 경희대 25.27대1, 국민대 23.84대1, 가천대(글로벌) 23.48대1, 동국대 22.66대1, 한국외대 22.63대1 순이었다.
비수도권에서는 경북대14.51대1, 단국대(천안) 11.11대1, 충북대10.90대1, 건국대(글로컬) 10.59대1, 연세대(미래) 10.48대1, 부산대10.13대1 순이었다.
경쟁률이 가장 높은 학과는 자연계열에서는 아주대 약학과 논술우수자 전형으로 708.20대1, 인문계열에서는 국민대 경영학부(경영학전공) 논술전형으로 321.6대1을 각각 기록했다.
종로학원 임성호 대표는 비수도권 지원자가 크게 늘어난 데 대해 "고3 학생 수가 전년에 비해 3만7천여명 늘어난 상황에서 경기 침체 등으로 비수도권 학생들이 무리하게 서울, 특히 경인권 소재 대학 지원을 기피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여기에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축소, 사탐런 등 입시 불확실성이 커져 안정지원 추세까지 종합적으로 맞물린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