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바이 초콜릿 소개 영상들. SNS 캡처지난해 국내를 뜨겁게 달궜던 이른바 '두바이 초콜릿(카다이프 초콜릿)' 열풍이, 유행이 시작된 지 채 1년도 안 돼 사실상 자취를 감췄다. 온라인 검색량 역시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짧은 유행 주기와 품질 격차 등이 맞물리면서 '두바이 초콜릿' 열풍의 인기가 급격히 식었다고 분석한다.
두바이 초콜릿, 1년 전 비해 관심도 90% 급락
20일 구글 트렌드에 따르면, '카다이프 초콜릿'의 국내 검색량은 가장 인기가 높았던 2024년 7월 둘째 주를 100으로 봤을 때, 2025년 8월 말~9월 초에는 약 6 정도로 떨어졌다. 불과 1년 남짓한 기간에 검색 관심도가 90% 이상 줄어든 셈이다.
이른바 '두바이 초콜릿'으로 불리는 이 초콜릿 열풍은 2023년 12월 디저트 리뷰 틱톡커 마리아 베헤라의 '먹방 영상'이 국내에서 인기를 끌면서 시작됐다. 누리꾼들이 SNS에 카다이프면을 직접 제작하거나 초콜릿을 변형해 먹는 레시피 영상을 공유하면서 폭발적으로 확산됐다.
편의점·다이소 등도 PB(자체 브랜드) 제품으로 잇달아 모방·출시해 '즉시 소비' 트렌드를 부추겼다. 그러나 유행 속도에만 주력했던 PB 제품들은 원물 디저트의 질감을 충실히 재현하지 못해 실망감을 샀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학생 이모(26)씨는 "SNS에서 기대하고 사 먹었지만, 겉보기만 비슷하고 맛은 전혀 달랐다"고 비판했고, 주부 이모(30)씨도 "원물의 피스타치오 맛을 재현하지 못하는 것 같다"며 아쉬움을 나타냈다.
이처럼 기대와 현실의 괴리감이 쌓이며 국내 두바이 초콜릿의 판매량은 1년 만에 약 40% 급감했다. 원재료 가격 상승, 과도한 유통 채널 모방, 차별화 없는 상품 출시 등이 판매 부진의 주요 배경으로 지목된다.
중고거래 사이트 당근마켓에 올라와 있는 두바이 초콜릿. 당근마켓 캡처이와 달리, 원물을 직수입하거나 현지 맛을 충실히 재현한 디저트 전문점은 여전히 강한 수요를 유지 중이다. 예를 들어 더현대서울에 입점한 '고디바베이커리'는 피스타치오 크림을 듬뿍 채운 '소라빵' 한정 판매로 SNS에서 긍정적 반응을 얻고 있다.
다만 이번에는 가격이 걸림돌이다. 카다이프와 피스타치오 등 핵심 원재료의 국제 가격은 2025년 4월까지 꾸준히 상승했다. 이로 인해 두바이 초콜릿의 전국적인 지속 인기는 힘든 상황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원재료 값 부담과 유통 구조의 한계가 맞물리면서, 대중적 인기도 빠르게 식어가고 있고 재고 할인 판매나 상품 수 축소로 이어지는 실정이다.
유행 주기 짧은 한국인들…"포모 현상의 결과"
미국·유럽 등 해외에서는 비싼 가격에도 카다이프가 들어간 두바이 초콜릿이 여전히 디저트 재료로 큰 사랑을 받고 있다. 미국 수제 쿠키 브랜드 크럼블(Crumbl)은 '두바이 초콜릿 브라우니'와 '두바이 초콜릿 치즈케이크'를, 햄버거 브랜드 쉑쉑은 '두바이 초콜릿 피스타치오 쉐이크'를 출시하며 돌풍을 일으켰다.
스위스 초콜릿 브랜드 린트(Lindt), 레더라(Läderach)도 관련 신제품을 내놨고, 뉴욕의 넛츠 팩토리(Nuts Factory)·길라델리(Ghirardelli) 등도 한정판 제품으로 시장에 합류했다. '고급 디저트 문화'가 자리 잡은 해외 시장에서는 여전히 카다이프가 트렌디한 소재로 통하고 있다는 평가다.
한국 소비자의 '유행-소멸 주기'가 유독 짧다는 점도 두바이 초콜릿 열풍이 급락한 이유 중 하나로 거론된다. 전문가들은 한국 소비자들이 한 번의 유행으로는 지속적인 소비 욕구를 유지하기 어렵고, 금세 새로운 트렌드에 관심을 돌리기 때문에 인기 제품이 빠르게 소멸한다고 설명한다.
인하대 소비자학과 이은희 교수는 "두바이 초콜릿 유행은 다수의 관심사에 뒤처지기를 두려워하는 포모 증후군(FOMO·Fear of missing out)의 결과"라며 "건강식 등 국내 소비자의 기본 욕구를 충족하지 못하면 새로운 유행에 묻혀 빠르게 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