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캐나다·영국·호주·포르투갈, 팔레스타인 국가 공식 승인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G7 국가 중 캐나다·영국 첫 선언…유엔 회원국 151개국으로 늘어
"하마스 보상 아냐" vs "테러에 보상"…이스라엘 강력 반발
프랑스·몰타·벨기에 등 추가 승인 예고…이스라엘 압박 수위 상승

연합뉴스연합뉴스
캐나다, 영국, 호주, 포르투갈이 21일(현지시간) 차례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 인정했다. 이로써 유엔 193개 회원국 가운데 팔레스타인을 주권국가로 승인한 나라는 하루 만에 147개국에서 151개국으로 늘었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두 국가 해법' 가능성을 살리기 위한 국제적 공조 노력의 일환"이라며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선언을 했다. 그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주도의 국가를 인정하는 것은 평화적 공존을 추구하며 하마스의 종말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힘을 실어주는 것"이라며 "테러리즘을 정당화하거나 보상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도 영상 메시지를 통해 "영국이 팔레스타인 국가를 공식 인정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것은 하마스에 대한 보상이 아니며, 하마스는 미래도 정부 역할도 가질 수 없다"며 하마스에 대한 추가 제재안을 수주 내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호주 앤서니 앨버니지 총리는 "팔레스타인인의 정당하고 오랜 염원을 인정한다"고 밝혔고, 파울루 한젤 포르투갈 외무장관은 미국 뉴욕에서 "정의롭고 지속적인 평화를 위한 유일한 길은 두 국가 해법"이라고 지지 의사를 밝혔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마무드 아바스 수반은 "국제적 정통성에 기반한 정의롭고 지속 가능한 평화 달성을 위한 필수 단계"라며 환영했고, 하마스도 "예루살렘을 수도로 하는 독립국가 수립을 위한 중요한 진전"이라고 호응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강하게 반발했다.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는 "팔레스타인을 인정하는 지도자들은 테러에 막대한 보상을 주는 것"이라고 비난하며 "요르단강 서안에 팔레스타인 국가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 방문에서 돌아온 뒤 대응책을 발표하겠다고 예고했다.

이스라엘 극우파 이타마르 벤그비르 국가안보장관은 "살인자에 대한 보상"이라며 요르단강 서안 합병안을 내각에 제출하겠다고 밝혔고, 인질·실종자가족포럼도 "하마스에 아직 인질 48명이 억류돼 있는데도 팔레스타인을 인정했다"고 비판했다.

한편 G7 국가 중 캐나다·영국이 처음으로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을 공식화한 데 이어 프랑스도 22일 선언할 예정이며, 몰타·룩셈부르크·벨기에 등도 유엔총회 기간 동참할 전망이다. 국제사회는 이 같은 승인 릴레이가 가자지구 전쟁을 이어가는 이스라엘에 대한 압박 효과를 낼 것으로 보고 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