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가 오는 23일 오후 4시 광주시의회 예결위 회의실에서 '광주광역시 시민사회 활성화와 공익활동 증진을 위한 기본계획(제1차, 2026~2028)' 최종보고회 겸 공청회를 연다. 광주시 제공광주광역시가 오는 23일 오후 4시 광주시의회 예결위 회의실에서 '광주광역시 시민사회 활성화와 공익활동 증진을 위한 기본계획(제1차, 2026~2028)' 최종보고회 겸 공청회를 연다.
광주시 주최·광주시민사회지원센터 주관으로 열리는 이번 공청회는 향후 3년간 광주 시민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을 확정하기에 앞서 시민사회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다.
앞서 광주시는 2023년 '광주광역시 시민사회 활성화와 공익활동 증진 조례'를 제정하고, 2024년 7월 기존 '광주NGO지원센터'를 '광주시민사회지원센터'로 전환하며 지원 기반을 확대했다. 올해는 전문가·행정·센터가 참여하는 전담팀(TF)을 꾸려 본격 연구에 착수했으며, 설문조사와 활동가 포커스그룹인터뷰(FGI)를 통해 비전과 목표, 추진전략을 구체화했다.
이번 기본계획은 △시민사회 기반과 역량 강화 △시민참여와 활동가 저변 확대 △공익활동에 의한 공동체 가치 실현 등 3대 목표를 중심으로 구성됐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5대 전략과 20대 과제는 광주 시민사회의 현실과 의견, 타 지역·해외 사례를 종합 분석해 설계됐다.
공청회는 이기훈 광주시민사회지원센터장의 사회로 진행되며, 김병완 광주대 교수가 전담팀 위원장 자격으로 최종보고서를 발표한다. 이어 박미경 광주시민단체협의회 상임대표, 정현수 전국아파트연합회광주시회 사무처장, 박다현 광주여성민우회 활동가, 김희련 문산마을공동체 대표, 김재철 전 광주전남연구원 수석연구원, 안평환 광주시의회 행정자치위원장이 패널로 참여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한다.
광주시 정원석 자치행정국장은 "공청회에서 제시되는 의견을 기본계획에 최대한 반영해 시민사회 지속가능성을 위한 실질적 정책지원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