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운홀 미팅에서 발표하는 SK텔레콤 유영상 CEO. SKT 제공SK텔레콤이 전사 AI 역량을 결집해 속도감 있는 혁신을 추진할 'AI CIC(Company in Company)'를 신설했다.
SKT는 25일 유영상 대표 주관으로 전 구성원 대상 타운홀 미팅을 열고 AI CIC 출범을 공식화했다.
유 대표는 이날 "급변하는 AI 환경 변화 속 위기와 기회가 공존하는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 수요자 중심의 내부 혁신과 공급자 중심의 사업 혁신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정예화된 조직 체계인 AI CIC를 출범시킨다"고 말했다.
SKT는 AI CIC를 SKT AI 사업의 주체이자 나아가 SK그룹 전체의 AI 사업을 이끄는 핵심으로 성장시킬 계획이다. 사내 시스템, 조직 문화, 구성원 역량 강화 등 내부 혁신도 병행한다.
구체적으로 △에이닷(A.) △기업 대상 에이닷 비즈(A. Biz) △AI 데이터센터(DC) △글로벌 제휴투자 △AI R&D △메시징·인증 사업 등 기존 조직은 AI CIC 체제로 재편된다. AI CIC 대표는 유영상 CEO가 겸임하며, 조직 개편은 10월 말 시행된다.
AI CIC는 향후 5년간 5조원 규모 투자를 집행해 2030년까지 연 매출 5조원 이상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이를 통해 서비스와 플랫폼, AI DC,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 등 전 분야에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AI 사업자로 자리매김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국가 AI 전략의 성공에도 기여할 방침이다.
AI CIC의 사업 축은'AI B2C·B2B'와 'AI 인프라'로 나뉜다. B2C는 에이닷을 중심으로 국내외 가입자 기반 확대를 추진하고, B2B는 에이전틱(Agentic) AI 서비스를 통한 생산성 향상 및 제조 AI 레퍼런스 확보에 집중한다. AI DC 사업은 글로벌 빅테크 유치와 정부 사업 참여를 통해 국내 최고 수준으로 키운다는 방침이다.
SKT는 분산돼 있던 AI 기술 자산을 통합해 그룹 전체를 지원하는 플랫폼으로 발전시키고, 정부·산업·민간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한 모델 확보에도 나선다. 디지털 트윈·로봇 등 미래 성장 영역 연구개발과 글로벌 파트너십 확장도 병행한다.
내부 혁신도 추진한다. AI 인력을 조직 전반에 균형 있게 배치하고, AI 전환(AX)을 가속화한다. MNO 사업에서는 업무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고 고객 접점을 혁신하며, 네트워크 사업에서는 지능형 N/W 기반 서비스 안정성을 높인다. 에이닷 비즈를 사내에 확대 적용하고, AI 보드 등 제도를 운영해 AI 중심의 사내 문화를 확산한다는 구상이다.
보안과 운영 혁신도 함께 추진한다. 지난 7월 발표한 정보 보호 혁신 방안을 중심으로 보안 거버넌스 강화, 제로 트러스트 정보보호 체계 구축 등 기술 및 시스템 강화와 함께 정보보호 조직∙인력 확대, 국내외 보안 전문가와 기관 자문 프로세스 도입 등 회사 경영 전반에서 보안 최우선 전략을 추진한다.
유 대표는 "지난 3년간 AI 컴퍼니 전환을 통해 에이닷 가입자 1천만명 확보,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 울산 AI DC 착수,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등 성과를 냈다"며 "AI CIC를 중심으로 다시 한번 AI 혁신을 이루고 글로벌 AI 컴퍼니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