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국제연합(UN)이 이란에 대해 10년 만에 제재를 복원하자 이란이 "법적 근거가 없다"며 거세게 반발했다.
28일(현지시간) AFP통신에 따르면 이란 외무부는 이날 성명에서 "폐기된 결의의 복원은 법적 근거가 없으며 정당화될 수 없다"며 "모든 국가는 불법적인 이 상황을 인정하지 말아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란이슬람공화국은 국가의 권리와 이익을 단호하게 수호할 것"이라며 "국민의 권리와 이익을 훼손하려는 어떠한 행동에도 단호하고 적절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압바스 아락치 이란 외무장관은 이날 안토니우 구테흐스 UN 사무총장에게 제재 시행을 위한 메커니즘의 부활을 막아달라고 촉구하는 서한을 보내고 자신의 SNS에도 공개했다.
해당 서한에서 아락치 장관은 구테흐스 사무총장에게 "제재위원회와 전문가 패널을 포함한 제재 메커니즘을 부활하려는 어떠한 시도도 막아줄 것을 촉구한다"며 이란은 UN 제재를 연장·부활·집행하려는 어떠한 시도도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UN은 이날 이란이 2015년 체결된 핵 합의(JCPOA)를 위반했다며 안보리 결의 2231호의 제재 복원 절차에 따라 10년 만에 이란에 대한 제재를 복원(스냅백)했다. 복원된 제재에는 이란의 석유, 은행, 금융 부문에 대한 제한 조치와 무기 금수 조치가 포함된다. 또 우라늄 농축과 재처리 금지, 탄도 미사일 관련 기술 이전과 활동 금지, 이란 개인·기관에 대한 전 세계 자산 동결과 여행 금지 등이 시행된다.
이란의 공식 인플레이션율이 약 40%에 달하는 상황에서 이번 제재는 극심한 경제난을 더욱 가중시킬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AFP통신은 외환 사이트 본바스트에서 이란 리알화 가치가 이날 한때 달러당 약 112만 리알에 거래돼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2015년 핵 합의 당시 달러당 3만2천 리알 수준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통화가치가 약 10년 만에 35분의 1 수준으로 폭락한 셈이다.
반면 이스라엘 외무부는 UN의 대이란 제재 복원에 대해 "이란이 핵 프로그램에서 저지른 위반 행위에 대한 직접적인 대응"이라고 환영하면서 "특히 군사 핵 프로그램에 대한 이란의 지속적인 위반에 대응하기 위한 주요 발전"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목표는 분명하다. 핵무장한 이란을 막는 것"이라며 "전 세계는 이 목표 달성을 위해 모든 수단을 활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