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추석에도 돌아가지 못한 사람들, 무안 공항 유가족의 멈춘 시간(종합)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떠난 가족들의 텅 빈 자리를 어루만지며…'눈물의 차례상'
300일 가까이 지났어도 무안국제공항엔 여전히 유가족 텐트
명절에도 떠나지 못한 이유…"아직 밝혀지지 않은 진실 때문"

6일 오후 2시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1층에 마련된 합동분향소에서 여객기 참사 희생자들을 위한 추석 합동 차례가 진행되고 있다. 독자 제공6일 오후 2시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1층에 마련된 합동분향소에서 여객기 참사 희생자들을 위한 추석 합동 차례가 진행되고 있다. 독자 제공
온 가족이 한 식탁에 모여 이야기꽃을 피우는 추석 명절에도 여객기 참사 유가족은 여전히 무안공항을 지키고 있다.
 
추석 당일인 6일 오후 2시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유가족은 황망한 사고로 세상을 떠난 가족들을 떠올리며 합동 차례를 열었다.
 
유가족은 여객기 참사 희생자 179명의 영정과 위패 앞에 차례상을 올렸다. 차례상에는 각종 전과 나물, 과일, 수육과 생선 등이 올랐다.
 
차례를 지내기 전 김유진 12·29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협의회 대표가 준비해 온 추모사를 읽어내리자 유가족 사이에선 일제히 눈물이 터졌다.
 
김 대표는 추모사에서 "따뜻한 식탁 대신 차가운 활주로와 바람 속에서 가족을 그리워해야 하는 현실이 참으로 쓰리고 아프다"라며 "우리는 이 명절을 슬픔 속에 보내게 만든 모든 원인과 책임을 절대로 잊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참사의 진실을 철저히 밝혀내고 싸워나갈 것을 이 자리에서 굳게 다짐한다"면서 "사랑하는 가족들의 영혼이 평안하길 진심으로 기도한다"고 했다.
 

'사랑하는 가족 떠올리며'…차례 준비도 무안공항서

무안공항에 상주하며 식사 준비를 도맡아 온 유가족 이경임(64)씨의 손은 이번 추석 차례를 앞두고 더 분주히 움직였다.
 
참사로 아들을 떠나보낸 이 씨는 이면지에 또박또박 적어 내려간 준비물을 확인하고 또 확인하더니 "최대한 좋은 것을 올려야 한다"며 "햅쌀에 신선한 나물과 전, 달콤한 사과대추도 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경임씨는 추석 차례상에 올라갈 음식을 종이에 적어뒀다. 한아름 기자 이경임씨는 추석 차례상에 올라갈 음식을 종이에 적어뒀다. 한아름 기자 
유가족이 가지고 있는 조리 기구는 휴대용 전기 레인지뿐이다. 이번 추석은 공항 직원들의 배려로 사내 식당 주방에서 차례 음식을 준비할 수 있었다.
 
추석 차례 준비 소식을 전해 들은 무안공항 청소 노동자 박애심(63)씨는 양파와 햅쌀 등을 가져와 유가족들에게 전했다. 박 씨는 평소에도 유가족들에게 깍두기와 청포묵, 부추김치 등 손수 만든 반찬을 수시로 전해주곤 했다.
 
박 씨는 "밥도 잘 못 챙기고 찬 바닥에 누워있는 유가족을 보면서 마음이 아팠다"면서 "함께하는 마음으로 힘내라는 의미에서 시골에서 농사지은 음식을 전했다"라고 말했다.
 
받은 식재료 값을 꼭 치르겠다는 유가족들과 돈을 안 받겠다는 박 씨 사이에 한동안 기분 좋은 실랑이가 이어졌다.
 
한편 주방에 모여 고구마줄기 껍질을 까고 꼬치전을 끼우던 유가족 중 한 명은 "내가 왜 차례 음식 준비를 여기서 하고 있는 건지 모르겠다"며 끝내 목이 메었다.
 

'추석에도 못 떠납니다' 무안공항 여객기 참사 유가족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내 설치된 20여 개의 대피소 텐트에 유가족이 머물고 있다. 한아름 기자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내 설치된 20여 개의 대피소 텐트에 유가족이 머물고 있다. 한아름 기자
무안국제공항에 들어서 불 꺼진 전광판과 맞이방의 차디찬 의자를 지나 한편에 여전히 유가족의 보금자리가 남아있다.
 
참사 이후 300일이 다 되어가지만 여전히 무안공항 한편에는 천막 스무 동이 나란히 서 있다.
 
사랑하는 가족을 잃은 뒤로 유가족에게 명절의 의미는 완전히 달라졌다.
 
친언니를 떠나보낸 조미영(52)씨는 평소 한 달에 한 번은 꼭 찾던 부모님 묘역에도 이번 명절엔 가지 않았다.
 
조 씨는 "언니랑 같이 열심히 부모님 묘를 찾았는데, 착한 언니를 부모님이 데려가 버린 것 같아 괜히 부모가 원망스러울 때도 있다"고 토로했다.
 
아내와 딸 부부, 토끼 같던 손자 손녀를 떠나보낸 박인욱(70)씨는 "평소 추석은 가족들과 모두 모여 보름달처럼 방긋 웃었는데 이젠 돌아오지 않을 그 추석 분위기가 그리울 뿐"이라고 말했다.
 
무엇보다 유가족은 여전히 이뤄지지 않은 진상규명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다.
 
남동생 부부를 떠나보낸 정진경(59)씨는 "우리가 무안공항에 남아있는 이유는 오로지 진상규명 때문"이라며 "독립적이고 공정한 여객기 참사 조사를 통해 황망히 떠난 가족과 남아있는 우리의 억울함을 풀어달라"고 호소했다.
 
왜 가족을 떠나보내야만 했는지 진실을 밝히기 위해 길 위에 선 유가족들은 추석에도 무안공항을 떠나지 못하고 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