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국내 주식, 미국이 가장 많이 보유…거래는 '영국 자금'이 압도적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영국 국적 투자자들, 매매한 금액 557조 4천억 원
전체 외국인 거래의 44.7% 차지하며 1위 기록

연합뉴스연합뉴스
국내 증시에 상장된 주식 가운데 외국인 보유 규모는 미국이 압도적인 반면, 실제 거래량에서는 영국 투자자들이 가장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금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 말까지 외국인 투자자들이 유가증권시장에서 매수한 금액은 619조3천억 원, 매도 금액은 628조 4천억 원으로, 총 1247조 7천억 원 규모의 거래가 이뤄졌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영국 국적 투자자들이 매매한 금액이 557조 4천억 원으로 전체 외국인 거래의 44.7%를 차지하며 1위를 기록했다. 조세회피처로 알려진 케이맨제도(14.1%)와 싱가포르(12.1%)가 뒤를 이었고, 미국은 12.0%로 4위에 머물렀다.

그 외에도 룩셈부르크(2.7%), 호주(1.8%), 아일랜드(1.7%), 스위스(1.6%), 캐나다(1.5%) 등 다양한 국적의 자금이 유입됐지만, 중국(0.5%), 홍콩(0.5%), 일본(0.4%), 대만(0.2%)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미미했다.

특히 코스닥 시장에서는 쏠림 현상이 더욱 뚜렷했다. 같은 기간 영국 투자자의 코스닥 매매 규모는 총 187조 1천억 원으로 전체 외국인 거래의 44%를 차지했고, 싱가포르(26.3%)와 케이맨제도(20.9%)를 포함한 상위 3개 지역이 코스닥 외국인 거래의 90% 이상을 점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과 호주는 각각 1.7%, 3.6% 수준에 그쳤다.

그러나 외국인 보유 주식 규모로 보면 양상은 전혀 다르다. 8월 말 기준, 미국 투자자가 보유한 국내 상장 주식은 367조 4250억 원으로 전체 외국인 보유액의 40.6%에 달했다. 반면 거래량 1위인 영국은 106조 2천억 원(11.7%)으로 2위였고, 싱가포르가 64조 2천억 원(7.1%)으로 3위를 차지했다.

흥미롭게도 대규모 거래를 기록한 케이맨제도는 보유 금액이 22조 원(2.4%)에 불과해 9위에 머물렀다. 이는 단기 차익을 노린 '스쳐가는' 자금일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차이가 투자 성향과 전략의 차이에서 비롯된다고 설명한다. 영국계 헤지펀드 등은 고빈도 매매나 단기 수익에 집중하는 반면, 미국 자금은 장기 보유를 지향하는 기관투자 성격이 강하다. 케이맨제도나 싱가포르 등은 조세회피처 또는 펀드 운용 거점으로 활용되며, 이 역시 단기적 접근이 많다는 평가다.

또한 아시아 지역 국가들의 낮은 투자 비중은 상대적으로 해외 투자 인프라나 글로벌 자산운용시장과의 연결이 약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