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전기차 80만 대 돌파…국내 車시장, '친환경 대세'로 급속 전환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국내 전기차 누적 등록 대수는 82만대 규모…작년 동기 대비 약 30% 증가
하이브리드 차량 등록 수도 약 237만대, 전년보다 역시 30%대 증가

황진환 기자황진환 기자
국내 전기차 누적 등록대수가 80만대를 돌파하는 등 자동차 시장의 친환경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9일 국토교통부의 자동차 등록통계에 따르면, 올해 8월 말 기준 국내 전기차 누적 등록 대수는 82만 2081대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동기 대비 약 30% 증가한 수치다.

전기차 보급은 2020년 3월 10만대 돌파, 2023년 9월 50만대 돌파를 거쳐 불과 1년여 만에 80만대를 넘어서며 빠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 속도대로라면 내년 중 전기차 등록 100만대 시대가 현실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기차 외에도 하이브리드 차량 등록 수는 237만 5009대로, 전년 같은 시점보다 약 30% 증가했다. 두 친환경차를 합치면 전체 등록 차량(2643만 4692대)의 12.1%를 차지하게 되며, 이는 10대 중 1대 이상이 친환경차임을 의미한다.

2015년 말까지만 해도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의 비중은 0.9%에 불과했고, 2020년에도 3.3%에 머물렀지만, 최근 몇 년간 가파르게 상승하며 친환경차가 본격적인 주류 시장으로 진입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와 달리 내연기관차의 비중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 휘발유 차량은 여전히 등록대수가 가장 많지만 2023년 8월 기준 등록 대수는 1240만 1663대로, 전년 대비 증가율은 0.02%에 불과했다.

경유차는 876만 8995대로 5% 감소, LPG차는 184만 5186대로 0.29% 감소하면서 내연차 전체는 감소세로 접어든 모습이다. 특히 경유차는 등록 대수가 폐차 대수보다 적은 상황이 이어지며, 지난 2월 누적 등록 900만대를 밑돌기도 했다.

정부 역시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친환경차 보급 확대에 속도를 낼 예정이다. 지난달 열린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수송 부문 대국민 토론회'에서 정부는 2035년부터 내연기관 차량 판매를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제시된 시나리오에는 2018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48~65% 감축하는 네 가지 방안이 포함됐다. 이 중 61%와 65% 감축 목표를 달성하려면 거의 대부분의 차량을 무공해차로 전환해야 하며, 이로 인해 내연차 신규 판매를 제한하는 정책 도입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한편, 업계는 전기차 확대 흐름 속에서 중국산 전기차 등의 수입차가 국내 시장을 빠르게 잠식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