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갈 길 먼 전산망 복구…일각 "올해 완전복구 어려울 수도"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쓰고 중요도 높은 1등급 시스템 복구율 75%, 국민 불편은 많이 줄어
"시스템 점검하는 관세센터에 인력 투입 한계…시간 걸릴 수밖에 없어"
정부, 이전해 재설치하는 시스템은 오는 26일 재가동 목표…다른 시스템 복구 시점은 불투명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0일 화재 피해 복구작업이 진행 중인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을 찾아 화재 발생 현장을 살펴보는 모습. 연합뉴스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0일 화재 피해 복구작업이 진행 중인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을 찾아 화재 발생 현장을 살펴보는 모습. 연합뉴스
지난달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7백개가 넘는 정부 행정전망이 마비된지 2주일이 지났지만 전산망 복구율이 겨우 30%를 넘어서면서 복구 기간이 장기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2일 현재 노컷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화재 당시 피해를 막기 위해 전원을 선제적으로 차단했던 6백여개 시스템은 5층 7-1 전산실 화재에 직접 영향을 받아 타지는 않았지만 분진, 연기 등으로 피해를 입었고 아예 다른 층 (2-4층)에 있던 시스템도 5층 전산실과 연계된 것이 많아 복구가 더딘 상황이다.

11일 저녁 9시 기준 전체 709개 시스템 가운데 35%인 248개의 시스템이 정상화 됐고 이용자가 많은 1등급 시스템의 경우 40개 가운데 30개가 정상으로 돌아와 복구율 75%를 유지 중이다. 2등급 시스템 복구율은 48.5%, 3등급은 40.2%, 4등급 23.5%다.

행정안전부 관계자 등에 따르면 선제적으로 전원을 차단했던 시스템들의 경우 재가동을 위한 점검을 서버가 있는 일반 전산실이 아니라 시스템을 통합관리하는 별도의 공간인 '관제센터'에서 하고 있는데 인력을 투입할 수 있는 공간이 제한돼 있고, 인력을 많이 투입한다고 해서 복구 속도를 높일 수 있는 환경도 아니다.

이에 따라 행안부 내에서도 709개 시스템을 완전히 복구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고, 올해 연말까지도 복구가 어려울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불에 완전히 타버린 (96개에서 100개 이상으로 늘어날 가능성) 시스템은 대구센터나 대전본원에 재설치하기로 하면서 오는 26일까지로 재가동 목표 시점을 제시했지만 나머지 시스템에 대해서는 개략적인 복구 시점도 밝히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추석 연휴(3~9일)를 복구의 '골든타임'으로 삼아 총력전을 벌였으나, 일주일간 복구된 시스템은 47개에 그쳤고 연휴가 끝난 10일에는 오후 6시까지 17개 시스템이 추가로 정상화됐다.

특히 1등급 핵심 시스템은 40개 중 30개가 복구돼 복구율 75%를 기록하면서 국민들이 현장에서 느끼는 불편은 많이 해소된 것으로 보이나 전반적인 복구율이 낮아 '디지털 강국'을 외쳐온 정부로서는 체면이 서지 않는 상황이다.

다만 여러 시스템이 연계돼 있어 복구 작업 중 여러 시스템이 일시에 복구되는 경우도 있고, 불이 난 5층에 있는  8전산실의 경우 연휴 중에 분진 제거 등 청소 작업이 마무리돼 이달 중순 이후부터는 복구되는 시스템이 많아질 것이라는 기대도 나오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1등급 핵심 시스템이 많이 복구돼 실제 국민 불편 이슈는 줄었다"면서도 "시스템을 완전히 재가동하기까지는 현장 여건상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 연말까지 복구가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도 있지만 정부는 최선을 다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