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한화생명 볼파크 전경. 연합뉴스 올해도 '가을 야구' 열기가 뜨거운 가운데 국정감사에서 고가 시즌권과 멤버십 등 각 프로 구단의 선예매 제도의 불공정과 암표 성행에 대한 지적이 제기됐다.
정연욱 의원(국민의힘)은 14일 열린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가을 야구 전쟁에서 암표는 또 다른 티켓 전쟁이 되고 있다"며 "선예매를 넘어 선선예매, 선선선예매까지 등장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10개 구단이 시즌권, 멤버십 이런 것들을 통해 선예매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돈과 등급에 따라 좌석이 미리 다 결정되니 공정하다고 보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선예매 제도가 사실상 돈으로 사는 권리로 변질됐다는 것이 정 의원의 주장이다.
정연욱 의원이 프로야구 암표상과 관련해 공개한 자료 중 일부. 국회방송 캡처그는 또 "일부 암표상들은 암표 장사를 성공담처럼 자랑한다"며 한 블로그의 게시글과 사진을 공개했다. 그러면서 "이 블로그의 글을 보면 한화 경기에서만 1500만 원, 한 달 수익이 2800만 원이다. 이 돈을 가지고 결혼 자금으로 썼다고 자랑한다. 이게 현실"이라고 전했다.
정 의원은 특히 "고가 시즌권이나 멤버십 남발은 암표로 갈 수밖에 없다"며 "문체부가 KBO와 함께 단속 상황을 공유한다고 하지만 가을 야구는 티켓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라고 강조했다. 이어 "모든 게 선예매로 끝나기 때문에 제대로 된 경기 티켓을 구할 수 없다"며 "암표상이 버젓이 활개 칠 수 밖에 없는 토양이 돼 있다"고 부연했다.
정연욱 의원(사진 왼쪽)이 문체부 최휘영 장관에게 질의하고 있다. 국회방송 캡처
그는 "구단은 장사하고, 문체부가 침묵하면 팬들만 피해를 본다. 이재명 정부가 손을 놓고 있을 상황은 아니다"라며 스포츠 공정에 부합하는 최소한의 제도적 장치 마련을 요구했다.
이 같은 지적에 대해 문체부 최휘영 장관은 "암표 부분은 문체부도 여러 노력들을 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한계가 많다"며 "암표상들이 표를 파는 것에 대한 법이 빨리 통과되도록 많은 관심을 부탁 드린다"고 답변했다.
한편 '가을 야구'는 지난 2023년부터 27경기 연속 매진의 흥행을 거두는 등 매년 열기가 더 뜨거워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