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복 인천시장. 연합뉴스올해 인천시 국정감사에서 수도권매립지 이슈와 공직선거법 위반 논란, 비상계엄 청사 폐쇄 의혹 등과 관련해 국민의힘 유정복 인천시장이 더불어민주당의 포화를 어떻게 이겨내느냐에 관심이 쏠린다.
16일 국회에 따르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오는 20일 오전부터 인천시를 상대로 국정감사를 진행한다.
이번 감사를 맡은 '지방1반'은 민주당 신정훈 행안위원장을 반장으로 민주당 7명, 국민의힘 3명, 조국혁신당 1명으로 꾸려졌다. 대표적인 친이재명계인 모경종(서구병) 의원이 인천 국회의원들 중 유일하게 명단에 올랐다.
시는 분야별 주요 사업 현황들과 각 의원실에서 요청한 자료 등을 준비·제공하면서 주요 예상 질의 등에 관한 내용을 정리하고 있다.
최근 민주당 지역구 의원들이 국회 기자회견에서 "'수도권매립지 잔여 부지를 더 사용할 수 있다'는 독소 조항이 포함된 2015년 4자 협의체 합의 당사자가 유정복 시장"이라고 직격한 점을 감안하면, 국감에서도 수도권매립지 대체 부지 공모와 관련한 쟁점으로 유 시장에 대한 공세를 이어갈 공산이 크다.
내년 지방선거에서 유 시장의 연임 도전이 유력한 만큼, 민주당 입장에서는 정치적 공격 수위를 더 높일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사법리스크'가 주요 타깃이 될 가능성이 있다. 유 시장은 국민의힘 대선 경선후보 시절 불법 선거운동을 한 혐의 등을 받고 있는데, 지난달엔 경찰이 인천시청 본청을 전방위 압수수색하기도 했다.
지역 정계 일각에서는 민주당 의원들 중심으로 제기돼온 '12·3 계엄 당시 국민의힘 광역자치단체장의 가담 의혹'이 다시 정쟁의 소재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 같은 쟁점들에 대해 그간 유 시장이 사안별로 적극 반박·해명 해와, 국감에서도 여당 의원들과 유 시장 간 팽팽한 기 싸움이 벌어질 전망이다. 야당 의원들이 유 시장을 엄호하면서 극한 대치 국면으로 번질 수도 있다.
반면 국민의힘 측은 야당 지자체장들을 상대로 한 정치보복 수사 논리를 펴는가 하면, 인천사랑 전자상품권 운영사인 코나아이와 이재명 대통령과의 유착관계 의혹 등을 제기하며 맞불을 당길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같은 날 오후 행안위는 인천경찰청을 상대로 현장 국감을 이어간다. 송도 사제총기 살인사건 등 지역에서 발생한 강력범죄들에 대한 초동 대응 논란이 화두로 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