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 제공충청북도가 전국 최초로 시행한 의료비후불제가 서울에 이어 경기도까지 확산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16일 충북도에 따르면 경기도가 이날 경기도의회에서 '의료비후불제 도입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열고 제도 도입의 필요성과 제도적 보완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충북도 한찬오 보건정책과장이 주제 발표자로 나서 제도의 성공 사례 등을 공유했고 전문가들이 참여해 제도 도입 방향 등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의료비후불제는 목돈 부담으로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하는 도민에게 최대 300만 원의 의료비를 무이자로 빌려주고 36개월 동안 분활 상환하는 의료 복지제도이다.
대상은 임플란트, 암, 골절 등 모두 14개 질환이며 도내 13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을 비롯해 치과와 병.의원 296곳이 참여하고 있다.
2023년 1월 충북에서 처음으로 시행된 이래 수혜자만 지난 10일 기준 2102명으로, 시행 3년 만에 이미 2천명을 넘어섰다.
대상별로는 기초생활수급자 851명, 65세 이상 776명, 장애인 250명, 다자녀가정 112명, 국가유공자 82명, 차상위계층 27명 등이다.
질환별로는 임플란트가 1596건으로 가장 많았고 치아교정 147건, 척추 110건, 슬관절 73건, 골절 53건, 뇌혈관 27건, 심혈관 24건, 고괄절 20건, 암 13건, 담낭.간.위.맹장 13건, 호흡기 9건, 산부인과 8건, 안과 7건, 비료기과 2건 등 순이다.
도입 3년 차 융자금 미상환율도 1% 미만에 그쳐 안정적인 제도 정착이 이뤄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도는 지원 한도를 최대 500만 원까지 확대하고 한부모가족 등 취약계층을 지원 대상에 포함하는 방안을 보건복지부와 협의하고 있다.
앞서 서울시도 지난해 12월 의료비후불제 도입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고 내년 상반기 시범 사업을 목표로 행정 절차를 진행 중이다.
충북도 관계자는 "경기도를 비롯한 여러 지자체의 관심이 제도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의료비후불제가 충북을 넘어 대한민국이 함께 누리는 제도로 확산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