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생성형 AI에 APEC 개최지 물었더니…일본식 목탑에 벚꽃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국민의힘 김승수 의원실 제공국민의힘 김승수 의원실 제공
여러 생성형 AI(인공지능)에서 우리 문화유산에 대한 왜곡된 정보가 검색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개최지인 경주나 경주에 있는 문화재에 관한 오류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대응할 데이터 역량을 정부가 충분히 갖추라는 지적이 국정감사에서 나왔다.

사이버외교사절단 반크가 챗GPT·미스트랄(Mistral)·제미나이(Gemini) 등 생성형 AI프로그램에 경주의 문화유산을 중심으로 질의한 결과, 오류가 포함된 정보가 상당수 도출됐다.

먼저, '뤼튼'에 '경주의 풍경 이미지'를 요청했는데 실제 경주와는 전혀 다른 장면이 생성됐다고 한다. 일본의 국화인 벚꽃과 함께 일본식 목탁 구조의 특징을 반영한 비현실적 석조 구조물이 포함돼 있었다.

연합뉴스연합뉴스
경주의 대표적 세계문화유산 석굴암에 대한 오류도 나왔다. 구글 제미나이가 묘사한 석굴암은 석굴 일부가 사라진 상태였다. 한쪽이 뻥 뚫려 있었다.

연합뉴스연합뉴스
대한민국 국보인 첨성대는 제미나이, 그록(Grok), 퍼플렉시티(Perplexity)에서 일반 천문대 같은 모습으로 그려졌다. 역시 국보인 천마도는 챗GPT에서 과거 시대 인물이 말을 타고 있는 장면으로 연출됐다.

연합뉴스연합뉴스
특히 경주APEC 상징이자 보물인 얼굴무늬 수막새는 제미나이 등에서 도깨비를 형상한 듯 상당히 왜곡된 모습으로 나왔다.

심지어 일부 AI에서는 APEC 개최지를 경주가 아닌 서울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검색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것으로 우려된다.

이와 관련해 국민의힘 김승수 의원은 국가유산청 대상 국회 문체위 국정감사에서 "생성형 AI거 수스로 학습할 거리가 있어야 한다"며 "국가부처가 AI의 발달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여기에 허민 국가유산청장은 "챗GPT 등에 교육할 시스템을 만들어서 2년 전부터 탑재를 시작하고 AI 활용 가이드라인을 만들었다"면서도 "(시스템 정비를) 철저히 하겠다"고 답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