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진 질문에 답하는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 연합뉴스한미 관세 후속 협상에 집중하고 있는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20일 미국이 3500억달러(약 500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 방식과 관련해 전액 현금으로 투자를 요구하는 상황은 아니라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오후 미국 출장을 마치고 인천국제공항으로 귀국하는 길에 기자들과 만나 협상 진전 상황을 묻는 질문에 "한국 외환 시장에 부담을 주는 선으로 (논의)해서는 안 되겠다는 점에 어느 정도 컨센서스가 있었다"며 "그걸 바탕으로 해서 진전될 수 있었다"고 답했다.
'미국이 3500억달러 전액을 현금으로 투자하라는 입장을 보였나'라는 질문에는 "거기까지였으면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을 것"이라며 "그런 부분에 있어 상당 부분 미국 측에서 우리 측 요구를 받아들인 측면이 있다"고 전했다.
또 "한미 양측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을 계기로 협상을 한 번 만들어보자는 데 의견 일치감이 있었다"면서도 "(다만) 우리 측에서는 시점 보다는 국익에 맞는 타이밍까지 왔는가를 더 우선으로 뒀다"고 강조했다.
이어 "가능한 범위를 찾기 위해 마지막 움직임이 있다"며 "지금 구체 쟁점에 대해선 말하기 어렵다. 그런 딜이 몇 가지 있어서 지금 당장 된다, 안 된다를 말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공감대를 이룬 미국 측 인사에 트럼프 대통령도 포함되는가'를 묻는 질문에 "제 협상 파트너는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으로 러트닉과 제 판단"이라며 "트럼프 대통령까지 말할 입장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김 장관은 추가 방미 계획에 대해서는 "관계부처와 논의를 해 보고 필요하면 갈 생각도 있다"며 가능성을 열어뒀다.
앞서 김 장관은 16일(현지시간) 대통령실 김용범 정책실장과 산업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과 함께 미국 워싱턴 DC에서 러트닉 장관을 만나 대미 투자 관련 각론에 대해 협의했다.
한편 김 장관보다 하루 일찍 귀국한 김용범 정책실장은 방미 결과와 관련해 "대부분의 쟁점에서 실질적인 진전이 있었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여전히 조율이 필요한 부분이 남아있다"면서도 이달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타결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방미 전보다는 APEC을 계기로 타결될 가능성이 커졌다"고 답했다. 한미 관세 후속 협상이 최종 국면에 돌입했다는 분석도 이 같은 설명과 맞물려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