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중국의 새 5개년계획을 심의한 중국 공산당 제20기 중앙위원회 제4차 전체회의(20기 4중전회)가 23일 폐막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오는 2035년까지 달성해야할 장기 목표도 포함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4연임을 염두에 둔 포석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23일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이번 4중전회에서는 '국민경제·사회 발전 15차 5개년계획 제정에 관한 중공중앙의 건의문'을 심의해 통과시켰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회의에서 건의문을 직접 설명했다.
회의에서는 내년부터 시작되는 15차 5개년계획 기간 "우리나라(중국) 발전 환경은 심각하고 복잡한 변화에 직면해 있고, 우리나라 발전은 전략적 기회와 리스크·도전이 병존하며 불확실성과 예측이 어려운 요소가 증가하는 시기에 놓여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5개년계획 기간의 목표로 △고품질 발전의 현저한 성과 △과학·기술 자립자강 수준의 대폭 향상 △진일보한 전면 심화 개혁의 새로운 돌파(진전) △사회 문명 정도의 명확한 향상 △인민 생활 질의 부단한 제고 △아름다운 중국 건설의 새롭고 중대한 진전 △국가 안보 장막의 공고화 등을 설정했다.
4중전회는 "이를 기초로 5년을 더 분투해 2035년까지 우리나라 경제 실력과 과학·기술 실력, 국방 실력, 종합 국력과 국제 영향력이 대폭 상승하고,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중등 선진국 수준에 이르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스마트화·녹색화·융합화 방향을 견지하면서 제조 강국·품질 강국·우주 강국·교통 강국·네트워크 강국 건설을 가속하고, 제조업의 합리적 비율을 유지하면서 선진 제조업을 뼈대로 하는 현대화된 산업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원천 혁신과 핵심 기술 공략을 강화하고 과학·기술 혁신과 산업 혁신의 심도 있는 융합을 추동하고 디지털 중국 건설을 심화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인공지능(AI) 등 첨단산업을 중심으로 미국의 대중국 견제가 날로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첨단산업 분야에서 기술독립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동시에 "내수 확대라는 전략적 기점을 고수하면서 민생 혜택과 소비 촉진, 물적·인적 투자의 긴밀한 결합을 견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좀처럼 살아나지 않는 내수 시장을 부양해 경제성장의 동력으로 삼겠다는 목표이다.
이밖에도 "전체 인민의 공동부유가 견실한 발걸음을 내딛도록 하며, 사회주의 현대화의 기본적 실현이 결정적인 진전을 보장받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공동부유'는 지난해 열린 3중전회 공보에서 한 번도 언급되지 않았지만 이번 4중전회에서는 다시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연합뉴스이번 회의에서는 부패혐의로 경질된 군서열 3위 허웨이둥 전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과 군서열 5위 먀오화 전 중앙군사위 위원 등 공산당 중앙위원 11명의 교체 결정도 추인됐다. 대신 장성민 중앙군사위 위원이 허웨이둥이 맡았던 부주석 자리에 임명됐다.
그밖에 위후이원 생태환경부 부부장, 마한청 구이저우성 당 부서기, 왕젠 랴오닝성 부성장, 왕시 광둥성 통전부장, 왕용훙 국가기관사무관리국 국장, 왕팅카이 톈진시 기율위원회 서기, 왕신웨이 랴오닝성장 등이 새로 중앙위원이 됐다.
한편, 중기 경제계획인 5개년계획을 심의하는 이번 4중전회에서 10년 뒤인 오는 2035년까지 달성해야할 목표가 언급된 점이 눈길을 끈다. 1인당 GDP를 그때까지 중등 선진국 수준에 도달하도록 한다는 목표인데 시 주석의 4연임과 연결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앞서, 지난해 7월 열린 20기 3중전회 당시에도 "2029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80주년 때까지 본 결정이 내놓은 개혁 임무를 완성한다"면서 개혁 임무 완수 시기를 2029년으로 언급해 주석의 연임을 염두해 둔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바 있다.
또, 시 주석이 만약 후계구도를 고려하고 있다면 오는 2027년 열리는 제21차 당대회까지 남은 기간을 고려할때 이번 4중전회가 후계자를 지목할 사실상의 마지막 기회였지만 이날 공개된 회의내용을 봐서는 관련 징후가 전혀 포착되지 않았다.
차기 최고 지도자감은 국가 부주석, 당 중앙서기처 서기, 중앙당교 교장, 중앙군사위원회의 부주석 등 요직을 두로 거치며 후계자 수업을 받는 것이 관례라는 점에서 현재로서는 제21차 당대회까지 이런 관례를 충족할 만한 인물이 보이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