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지난 20일부터 23일까지 이뤄진 사전 범죄예방 진단 활동 중 서울 마포구 홍대 관광특구에서 모형 일본도를 들고 있는 사람을 검문검색하고 있다. 서울경찰청 제공경찰이 핼러윈 기간 인파가 밀집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에서 범죄 취약요소와 안전시설물 등 점검에 나섰다. 이번 점검을 통해 파손된 도로 등 안전에 취약한 지점들이 조기 발견돼 보수되고, 심지어 사기 혐의 수배자도 붙잡은 성과가 있기도 했다.
28일 서울경찰청은 핼러윈을 앞두고 지난 20일부터 23일까지 나흘간 유흥가와 관광지 등 인파밀집 관리대상 14개 지역에 대해 사전 범죄예방 진단에 나섰다고 밝혔다.
경찰은 범죄예방 진단 활동에서 입간판, 공사자재 등 통행로상 불법적치물과 포트홀, 맨홀 등 위험요소를 점검했다. 또 인파밀집 시 대피 공간과 보행 동선 안전을 확보하는 데에 집중했다.
이번 활동에서는 관리대상 14개 지역의 12개 관할 경찰서 범죄예방진단팀(CPO)과 기동순찰대 457명이 투입됐다.
경찰은 인파밀집 관리대상 지역 중 서울 종로구 익선동, 용산구 이태원 관광특구, 마포구 홍대 관광특구, 강남구 강남역 등을 중점관리지역으로, 성동구 왕십리역, 서대문구 신촌 연세로 등을 안전관리지역으로 분류했다.
다중 운집이 예상되는 취약지에서는 폐쇄회로(CC)TV와 비상벨 등 방범시설물을 점검해 고장·파손 등을 관할 지자체 등 당국에 통보해 개선하도록 조치했다.
경찰이 지난 20일부터 23일까지 이뤄진 사전 범죄예방 진단 활동에서 서울 성동구 성수동에 비상벨을 추가로 설치하고 있다. 서울경찰청 제공실제로 경찰은 이번 활동에서 용산구 이태원 도로 바닥이 깨지거나 건물 천장이 부서진 곳을 확인하고 용산구청에 해당 내용을 통보했다. 또 성동구 성수동 카페거리에서 다중운집 관리를 돕는 '인파전광판' 전원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을 발견하고, 성동구청과 협업해 복구했다.
한편 핼러윈 집중 관리 기간으로 설정된 오는 31일부터 11월 2일까지는 중점지역들에 기동순찰대 48개 팀 266명을 배치하고 자율방범대 349명의 협조를 받아 범죄와 사고를 예방할 계획이다. 중점지역은 이태원, 홍대, 익선동, 강남역 등 8곳이 선정됐다.
경찰은 이번 활동을 통해 사기 혐의 수배자를 붙잡기도 했다. 지난 21일 낮 12시 40분쯤 강남역에서 점검 중인 경찰관을 보고 황급히 차를 타고 도주하는 50대 남성을 추적한 결과, 41억 원대 사기 혐의로 총 20건 수배 중이었다는 사실을 알아내 붙잡았다. 지난 25일 50cm짜리 플라스틱 일본도를 소지한 남성을 불심검문해 주의 등 계도 조치를 내리기도 했다.
경찰은 "핼러윈 기간 중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 사전 점검과 순찰을 병행했다"며 "향후에도 예방 중심적 활동으로 시민 안전에 힘쓰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