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스인덱스 제공최근 4년간 퇴직한 공직자 2명 중 1명은 민간기업에 재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재취업처는 한화·삼성·현대차 등 대기업이었으며, 국방부 출신 인사가 가장 많았다. 
4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인사혁신처에 신고된 2022년 1월부터 2025년 9월까지의 퇴직공직자 취업심사 신청자 3634명을 전수조사한 결과, 이 중 3297명(90.7%)이 영리사기업·공공기관·협회 등에 대해 취업 승인 또는 가능 판정을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퇴직공직자는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퇴직 전 5년간 근무한 부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기관에는 3년간 취업할 수 없다. 인사혁신처는 각 신청자의 취업예정 기관·직무를 심사해 가능 여부를 판정한 뒤 그 결과를 공개하고 있다. 
전체 절반이 일반 사기업…대기업 계열 취업 19%
퇴직공직자의 취업처를 유형별로 보면 일반 사기업이 47.5%(1567명)으로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다. 이 중 대기업집단 계열사는 19.2%(632명)에 달했다. 
이어 공공기관 17.1%(564명), 법무법인 9.5%(313명), 협회 6.9%(226명), 금융사 5.3%(175명)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정·감독기관 출신의 민간 진출이 두드러졌는데, 국방부(12.9%)와 경찰청(11.6%) 출신이 가장 많았고, 검찰청(5.5%), 금융감독원(4.9%), 국세청(4.5%), 산업통상자원부(3.1%), 대통령비서실(2.7%), 국가정보원(2.2%) 등이 뒤를 이었다. 
대기업 계열로 취업한 집단 중에서는 한화그룹이 11.6%(73명)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삼성(9.3%, 59명), 현대자동차(7.6%, 48명), LIG(5.1%, 32명), SK(4.4%, 28명), 한국항공우주산업(4.3%, 27명), 쿠팡(3.8%, 24명), LG(3.6%, 23명), 카카오(3.2%, 20명), 부영(3.0%, 19명)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이들 10개 그룹이 전체 대기업 재취업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리더스인덱스 제공특히 퇴직공직자 고용 1위인 한화그룹의 경우 국방부 출신이 28명으로 절대 다수로 나타났다. 이들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19명), 한화오션(15명), 한화시스템(13명) 등 방위산업 계열사에 집중됐다. 
삼성그룹은 경찰청 출신(12명)이 가장 많았으며, 삼성전자·에스원 등 보안·법무 관련 직군이 주를 이뤘다. 
		
		
현대차그룹은 국방부(11명)와 경찰청(5명) 출신 비중이 높았고, 현대로템·현대건설 등 금융·건설 계열사에서 고문·전문위원 형태가 많았다. 
전통적으로 국방부 출신이 많은 방산업계를 제외하면, 쿠팡이 단일 기업 기준으로 가장 많은 전직 공직자(20명)를 채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경찰청 출신이 8명, 대통령비서실 4명, 검찰청·공정위 출신이 각각 3명이었다.
가상자산 거래소·법무법인에서도 관료 영입 '활발'
가상자산 거래소 업계에서도 금융감독·규제 경험을 보유한 전직 관료들의 영입이 활발했다.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는 14명이 취업했는데, 금융감독원 출신이 6명으로 가장 많았다. '빗썸' 역시 9명 가운데 7명이 금감원 출신이었다. 
퇴직공직자의 로펌 진출도 눈에 띄었다. 2022년부터 2025년 9월까지 313명이 법무법인 취업 명단에 포함됐다. 이 가운데 법무법인 YK가 79명(25.2%)으로 가장 많았으며, 김앤장(50명), 세종(31명), 광장(24명), 대륙아주(23명), 율촌(22명), 태평양(21명)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