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충북 청주시 현도면 재활용선별센터 건립 현장에서 주민들과 시공사 관계자들이 대치하고 있다. 임성민 기자7일 본격 착공할 예정이었던 충북 청주시 현도면 재활용선별센터 건립 사업이 주민들의 거센 반발에 부딪혀 결국 첫 삽을 뜨지 못했다.
청주시는 사업의 시급성과 합법성을 강조하며 설득에 나서고 있지만, 주민들은 전면 백지화를 요구하며 결사 반대 의지를 꺾지 않고 있다.
이날 오전 청주시 서원구 현도면의 재활용선별센터 건립 부지 현장.
본격 착공을 앞두고 이른 아침부터 주민 40여 명이 집결해 사업 철회를 촉구하며 거세게 반발했다.
한 주민은 길에 드러누워 장비 반입을 저지하고 나서는 등 한동안 시공사 관계자들과 팽팽하게 대치하기도 했다.
격렬한 시위 속에 주민 1명이 주저앉으면서 한때 긴장감이 감돌기는 했지만, 다행히 우려했던 물리적 충돌은 발생하지 않았다.
7일 충북 청주시 현도면 재활용선별센터 건립 현장에서 한 주민이 도로 위에 누워 공사 장비 진입을 막고 있다. 임성민 기자공사의 당위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선 관계자의 말에도 주민들은 오히려 반대 구호를 더욱 크게 외치며 맞섰다.
공사 관계자는 "이 시설은 환경 오염이 발생하지 않고 전혀 주민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는다"며 "오히려 이 시설이 들어서면 지역의 고용 창출 효과가 있어 이익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주민들은 "청주시는 각성하라"는 구호를 수차례 외치며 사업 백지화를 거듭 촉구했다.
청주시는 당장 무리하게 진입을 강행하지 않고 주민들을 설득하는 데 주력하면서 공사를 서두르겠다는 입장이다.
청주시 관계자는 "재활용 정책을 위해 하루라도 빨리 센터가 완공돼야 하는 시급한 상황"이라며 "공사를 진행하되 주민들과 계속 대화하면서 설득하겠다"고 말했다.
7일 충북 청주시 현도면 재활용선별센터 건립 현장에서 주민들이 집회를 열고 사업 백지화를 촉구하고 있다. 임성민 기자청주시는 다음주 다시 착공을 추진할 방침이다.
공사를 놓고 시공사와 주민들 간 또 다른 법적 다툼이 예고돼 사업 추진에도 큰 암초가 예상된다.
주민들은 사업의 절차적 하자를 이유로 법원에 공사 중지 가처분 신청을 낼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맞서 시공사는 공사 방해 금지를 구하는 가처분 신청을 내고, 그 결과에 따라 손해배상을 검토하겠다고 예고했다.
시공사 관계자는 "다음주 월요일 다시 진입을 시도해 봐야 하겠지만 현재로서는 쉽지 않아 보인다"이라며 "하루 1500만 원 정도의 손해가 발생하고 있는데,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청주시는 오는 2027년 12월까지 서원구 현도면 죽전리 현도산업단지 내 재활용시설 부지에 재활용선별센터(시설면적 6860㎡)를 지을 계획이다. 하루 최대 처리용량 규모는 110t이다.
이곳에는 플라스틱이나 캔, 유리 등을 분류할 수 있는 자동 선별시스템이 도입된다.
당초 올해 말 착공할 예정이었지만, 주민 반발에 따른 행정심판까지 진행되다 보니 사업 추진이 계속 지연됐다. 이에 따른 사업비도 267억 원에서 371억 원으로 100억 원 이상 불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