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청약통장 가입자 수가 올 들어 최소치를 경신하며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올해 들어 9월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 수는 2634만 9934명으로 집계됐다.
청약통장 가입자는 집값이 하락세로 접어들기 직전이었던 2022년 6월 2859만 9279명에서 2025년 2월 2643만 3650명으로 2년 8개월 연속으로 줄었다. 이 기간 감소한 가입자 수만 216만 5629명이다.
정부는 청약통장 저축액의 감소를 막기 위해 통장 금리를 2022년 11월(0.3%포인트), 2023년 8월(0.7%포인트), 2024년 9월(0.3%포인트) 등 세 차례에 걸쳐 올리고 지난해부터 청약통장 미성년자 인정 기간을 확대했다. 또한 올해부터는 청약통장의 소득공제 한도를 연 300만 원으로 늘리고 신혼부부가 출산하면 특별공급 기회를 한 번 더 주는 등 청약 혜택도 늘렸다.
연합뉴스이런 영향에 청약통장 가입자는 지난 2월 2643만 3650명에서 3월 2643만 8085명으로 4435명 늘며 2년 9개월 만에 반등했다. 하지만 청약통장 가입자는 7월 2636만 6301명에서 8월 2637만 3269명으로 6968명 늘어난 것을 제외하고 매달 감소세가 지속했다. 올해 들어 9월까지 두 차례(3월·8월)를 빼고 매달 청약통장 가입자가 감소한 것이다.
청약통장 가입자는 9월(2634만 9934명)에도 2만 3335명이 감소하면서 감소세가 본격화하기 직전인 2022년 6월(2859만 9279명)과 비교해 3년 3개월 동안 224만 9345명이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평균 청약 경쟁률도 낮아졌다.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데이터를 집계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1~10월 전국 아파트 1순위 평균 청약 경쟁률은 7.1대 1로 집계됐다. 2020년(26.8대 1)과 비교해 4분의 1 수준으로 수요 위축에 따라 청약통장 감소세가 심화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청약 가입자 감소 원인으로는 급등한 분양가격에 당첨 가점은 점점 높아지면서 당첨 확률이 낮아지는 추세 등이 꼽힌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3.3㎡당 전국 민간 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2021년 1303만 원, 2022년 1530만 원, 2023년 1815만 원, 지난해 2069만 원에 이어 올해는 9월 기준으로 2118만 원으로 치솟았다. 약 4년 만에 분양가격이 62.5% 급등한 것으로, 원자잿값과 인건비 상승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청약으로 내 집 마련을 하려는 실수요자 입장에서 부담이 대폭 커진 셈이다.
여기에 정부의 6·27 대출 규제와 10·15 부동산 대책으로 실수요자들의 청약 대출 진입 문턱이 높아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10·15대책에 따라 서울 전역과 경기 12곳이 규제지역으로 묶이면서 무주택 당첨자 기준으로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이 기존 비규제지역이었을 당시였던 70%에서 40%로 대폭 낮아졌다. 또한 현행 6억 원인 수도권과 규제 지역 내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를 주택 가격 수준에 따라 차등을 뒀다. 시가 15억 원 이하 주택은 6억 원, 15억~25억 원은 4억 원, 25억 원 초과는 2억 원으로 제한했으며, 스트레스 금리를 기존 1.5%에서 3.0%로 상향 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