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최민희 위원장이 밝은 표정으로 박수를 치고 있다. 윤창원 기자최민희 국회 과방위원장이 자리를 지킨다. 국정감사 중 불거진 '축의금 논란'과 'MBC 퇴장 사건' 이후 거취가 주목됐지만 파장이 어느 정도 잦아들자 여당 지도부에서도 더는 문제 삼지 않는 분위기다.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는 9일 기자간담회에서서 최 위원장 거취에 관해 "당대표가 말씀을 나눈 것으로 일단락됐다고 본다"며 "그런 얘기의 무게감은 충분히 느끼셨으리라고 본다"고 밝혔다.
이날 기자간담회는 올해 국정감사를 운영위, 정보위 등 겸임 상임위까지 모두 끝낸 뒤 당 지도부가 공식적으로 언론의 질의를 받은 첫 일정이었다. 최 위원장에 관한 답변이 나올 것으로 예상됐었다.
일주일 전인 지난 2일 간담회에서 박수현 수석대변인이 최 위원장 거취 관련 질문에 "다음 주 일요일쯤 김병기 원내대표가 국정감사 전체에 대한 평가를 하는 기자간담회를 열 것"이라고 답했었기 때문이다.
박 대변인은 지난달 31일에도 "국정감사가 끝나면 그에 대한 당내 평가 과정이 있을 것"이라며 "당연히 과방위에 대한 평가도 이뤄질 것"이라고 예고했었다.
다만 당 지도부에서는 박 대변인이 '간담회에서의 평가'를 언급한 것과 앞서 정청래 대표가 최 위원장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경위 설명을 요구한 것으로 이미 충분한 경고가 됐다고 보고 있다.
복수의 지도부, 원내지도부 관계자는 사석에서 "지도부가 언론을 통해 그런 언급을 한 것이 최 위원장으로서도 부담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정 대표는 지난달 20일 최 위원장이 비공개 업무보고 중 MBC 뉴스의 일부 리포트가 편향적이라고 문제 삼다 보도본부장을 퇴장시킨 뒤 그에게 전화를 걸어 사태의 전말을 들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박 대변인은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에서 "당대표가 직접 전화를 건 그 자체가 메시지"라며 "그런 정도의 과정이 있었으면 (최 위원장이) 한번쯤 메시지를 참아주셨으면 어떨까 한다"고 말했다.
그러자 최 위원장은 "위원장으로서 책임을 느낀다(10월 29일)"거나 "이런 논란의 씨가 없도록 관리하지 못한 게 후회스럽다(10월 30일)"며 사과 입장을 거듭 밝혔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