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제공보건복지부가 향후 5년간 장애인 건강정책의 방향을 제시할 첫 종합계획 수립을 위해 장애계의 목소리를 직접 들었다.
보건복지부는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제1차 장애인 건강보건관리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장애계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 수립 중인 제1차 종합계획에 대해 장애인 당사자들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기 위한 자리다.
복지부는 올해 4월부터 6월까지 장애인 당사자와 의료전문가가 참여한 '장애인 건강 정책 포럼'(총 6회)을 열고, 장애인단체 심층 인터뷰를 통해 건강권 보장을 위한 주요 과제들을 논의해왔다. 이번 간담회는 그 논의 결과를 반영한 종합계획을 토대로 진행됐다.
이날 회의에는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한국지체장애인협회, 한국척수장애인협회, 한국여성장애인연합, 한국장애인부모회, 한국자폐인사랑협회 등 주요 단체 관계자들이 참석해 자유토론을 통해 의견을 제시했다.
이번 종합계획은 장애인 건강 증진, 의료 접근성 향상, 맞춤형 건강관리 지원체계 구축 등을 포함해 장애인 건강보건정책의 중장기 방향을 제시하는 첫 공식 계획이다. 복지부는 이를 통해 지역 간 건강격차 해소, 취약 장애유형별 건강관리 강화, 의료기관의 장애인 친화 환경 조성 등을 구체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복지부는 간담회 이후 장애인단체 및 관계 기관의 추가 의견을 반영해 올해 안에 종합계획을 확정하고, 내년부터 본격 추진에 들어갈 예정이다.
손호준 복지부 장애인정책국장은 "이번에 처음으로 마련될 장애인 건강보건관리 종합계획은 향후 5년간 장애인 건강정책의 청사진이 될 것"이라며 "오늘 간담회에서 나온 장애인 당사자들의 목소리가 정책에 충실히 반영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