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엿새째인 11일 오전 발전소 보일러타워 4호기 6호기가 발파 해체 되고 있다. 연합뉴스한국동서발전 발전소 보일러 타워 4·6호기 발파를 앞둔 11일 오전 사고 현장에는 무거운 적막감이 감돌았다.
중앙사고수습본부의 발파 계획이 공식 발표된 데 이어 오전 11시 '현장 접근 금지' 재난 안전 문자까지 발송되면서 긴장감은 더욱 커졌다.
이윽고 발파가 예정된 낮 12시.
귀를 찢을 듯한 굉음과 함께 60m 높이의 거대 철재 구조물 2기가 일순간 무너져 내렸다.
자욱한 먼지가 현장을 뒤덮은 탓에 발파 성공 여부는 즉각 확인되지 않았다.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엿새째인 11일 낮 12시 보일러 타워 4·6호기에 대한 발파작업이 진행됐다. 이상록 기자
먼지가 걷히고 시야가 확보되자 바다 반대 방향으로 넘어진 4·6호기의 모습이 확인됐다.
5호기 잔해가 있는 곳을 피해 목표한 방향으로 붕괴를 유도하는 '지향성 발파'가 이뤄진 것.
소방당국은 발파가 마무리된 만큼 2~3시간에 걸쳐 안전성을 확인한 뒤 구조·수색작업을 진행할 방침이다.
소방 인력 70여명, 8개 조를 투입해 24시간 구조작업을 벌인다.
그동안 4·6호기 타워 추가 붕괴 우려로 투입되지 못했던 크레인, UHD 롱붐굴삭기 등 중장비도 동원한다.
또 구조견과 매몰 탐지기 등 첨단 장비를 이용해 실종자에 대한 수색 범위를 확대한다.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엿새째인 11일 오전 발전소 보일러타워 4호기 6호기가 발파 해체 되고 있다. 연합뉴스현재 5호기 붕괴 현장에는 위치가 확인된 2명(사망 추정)과 실종 2명 등 모두 4명이 매몰돼 있다.
중앙사고수습본부장인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중장비와 인력을 확대 투입해 24시간 구조 체제를 유지하면서 매몰 노동자를 조기에 구조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할 계획"이라며 "이번 발파 작업을 사고 수습의 전환점으로 삼고, 가족과 피해자 지원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