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경주시 '핵융합 핵심기술 개발' 유치 신청…핵융합 메카 기대감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50년 원전 운영 경험·완비된 안전체계로 최적의 입지 강조
주낙영 시장 "미래 에너지전략 선도 핵심 거점 역할 수행하겠다"

문무대왕과학연구소 조감도. 경주시 제공문무대왕과학연구소 조감도. 경주시 제공
경북 경주시는 1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핵융합 핵심기술 개발 및 첨단 인프라 구축사업' 부지 유치 공모에 신청을 접수했다고 밝혔다.
 
유치 신청 부지는 문무대왕과학연구소의 2단계 부지 약 51만㎡다. 이곳은 산업단지로 조성돼 있어 향후 연구시설 건립·착공이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다.

'핵융합 핵심기술 개발 및 첨단 인프라 구축사업'은 2027년부터 2036년까지 추진한다. 기술 개발과 인프라를 완비하면 우리나라는 '우라늄 핵분열 중심의 기존 원자력'에서 '수소 동위원소 기반의 핵융합발전'으로 전환하는 역사적 전기를 맞을 것으로 기대된다.
 
경주시는 지난 50년간 원전을 안전하게 운영해 온 도시이자 △한국수력원자력 본사 △월성원전 △한국원자력환경공단 본사 △중·저준위 방폐장 등 국가 원전산업 생태계의 핵심기관이 모두 집적돼 있는 원자력 산업의 메카임을 강조하고 있다.
 경주에 있는 월성원자력본부 전경. 월성본부 제공경주에 있는 월성원자력본부 전경. 월성본부 제공
특히 월성원전이 다량 보유하고 있는 삼중수소는 핵융합 연구의 필수 연료로, 장거리 운송 없이 신속·안전하게 조달할 수 있는 강점을 갖는다. 연구시설에서 발생하는 방사성폐기물도 원거리 이동 없이 안전하게 처분할 수 있다.
 
경주시는 원전 50년, 방폐장 10년 운영 과정에서 지질·지반 안전성을 충분히 검증받았으며, 2018년 준공한 극초정밀 양성자가속기(펨토·아토 단위) 운영 경험 등 첨단공학 기반도 갖추고 있다.
 
또 풍부한 냉각수 확보, 원전 및 방폐장을 중심으로 구축한 방사선감시망, 완비된 비상대응체계 등은 핵융합 연구시설의 안전성과 운영 효율성을 확실히 뒷받침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문무대왕과학연구소와 시설 공동활용, 연구네트워크 연계, 전문 인력 및 장비 공유가 가능한 장점도 갖고 있고, 인근의 양성자과학연구단, 중수로해체기술원, SMR제작지원센터 등 기존 연구 거점과의 협력은 핵융합 연구에 큰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문무대왕과학연구소 조감도. 경주시 제공문무대왕과학연구소 조감도. 경주시 제공
정부가 달성하려는 핵심기술은 핵융합 소형화 기술 고도화, 핵융합 전력생산 기술 확보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경주는 문무대왕과학연구소의 SMR 및 신형원자로 연구, SMR제작지원센터 기능, 조성 중인 SMR국가산업단지 등 관련 기반을 폭넓게 확보하고 있어 핵융합 소형장치 개발부터 기자재·소부장 공급까지 아우르는 핵심 거점으로 성장할 충분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원전·방폐장을 수십 년간 수용해 온 지역 특성상 주민수용성과 정책수용성도 이미 확보되어 있다.
 경주 중저준위방폐장 동굴처분시설. 한국원자력환경공단 제공경주 중저준위방폐장 동굴처분시설. 한국원자력환경공단 제공
대구·포항·구미·울산·부산·창원 등 주요 첨단산업도시의 가운데에 위치해 있어 광역 연구·산업 협력의 허브로서 지리적 이점도 갖는다.
 
2016년부터 해오름동맹을 통한 포스텍·유니스트·동국대·한동대와의 협력 구축도 핵융합 연구 인프라 강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경주는 원자력 관련 핵심 시설과 연구 인프라가 집적된 국내 유일의 도시로서, 핵융합 연구개발·산업화를 위한 필수조건을 모두 갖추고 있다. 반드시 연구시설을 유치해 국가 미래 에너지전략을 선도하는 핵심 거점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