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美 생산 테슬라에 중국산 부품 뺀다…"미중 갈등 여파"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WSJ 보도…테슬라, 주요 협력업체들에 중국산 부품 전면 배제 요구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연합뉴스[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연합뉴스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미국에서 생산하는 차량에 중국산 부품을 쓰지 않기 위해 공급망을 재편하고 있다고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테슬라는 미국 내 전기차 공장에 부품을 납품하는 주요 협력업체들에게 중국에서 만든 부품을 전면적으로 배제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중국산 부품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겠다는 테슬라의 내부 결정은 올해 초 내려졌으며, 테슬라와 협력사들은 이미 일부 중국산 부품을 다른 지역에서 생산된 부품으로 대체하기 시작한 상태라고 WSJ는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테슬라는 향후 1~2년 안에 나머지 부품들까지도 모두 중국 이외 지역에서 생산된 부품으로 교체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테슬라는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중국에서 부품 조달에 차질을 겪은 이후 중국산 의존도를 줄이려는 노력을 이어왔으며, 여기에 올해 들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강력한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하면서 중국산 부품 배제 전략에 한층 속도가 붙었다고 WSJ는 설명했다.

다만 LFP(리튬인산철) 배터리처럼 중국 의존도가 높아 대체가 쉽지 않은 부품도 있다. 중국 배터리 업체 CATL은 테슬라의 LFP 배터리 주요 공급처였다.

테슬라는 지난해까지 중국산 LFP 배터리를 탑재한 차량을 미국 시장에 판매했으나, 이로 인해 해당 차량들이 전기차 세액공제 대상에서 제외됐고, 올해부터는 중국산 수입품에 고율 관세까지 부과되면서 미국 내에서 중국산 LFP 배터리 사용을 중단했다고 WSJ는 전했다.

대신 테슬라는 미국 내 자체 LFP 배터리 생산에 나섰다. 테슬라는 네바다주에 건설 중인 LFP 배터리 공장이 내년 1분기 중 가동을 시작할 것이라고 지난달 밝힌 바 있다.

바이바브 타네자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 4월, 테슬라가 미국 내 자체 LFP 셀 생산과 더불어 "중국 외에 기반을 둔 공급업체로부터 추가 공급망을 확보"하는 방안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WSJ은 테슬라의 이런 움직임이 "미국과 중국 사이에 깊어지는 지정학적 긴장의 여파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짚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