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반도체·조선도…"韓 주력 10대 산업, 5년 뒤 모두 中에 밀릴 우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핵심요약

韓 기업 "2030년엔 中과 격차 더 벌어진다"
"10대 주력업종 모두 중국에 뒤처진다" 전망
반도체·전기전자 등 현재 우위 업종도 5년 내 역전 가능성

연합뉴스연합뉴스
국내 기업들은 2030년이면 반도체와 조선 등 우리나라 10대 수출 주력 업종 전 부문에서 중국보다 기업경쟁력이 뒤처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는 17일 10대 수출 주력업종을 영위하는 매출 상위 1천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미·일·중 경쟁력 현황 및 전망 조사'(응답 200개사)를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기업들은 한국을 100으로 가정했을 때 올해(2025년) 중국의 기업경쟁력을 102.2로 평가했으며, 5년 뒤에는 112.3으로 격차가 10.1포인트 더 벌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한경협은 "국내 기업들은 이미 중국에 뒤처졌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향후 격차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중 업종별 기업경쟁력 수준. 한국경제인협회 제공한·중 업종별 기업경쟁력 수준. 한국경제인협회 제공
기업들은 반도체·디스플레이·전기전자·자동차 및 부품·일반기계·선박·이차전지·석유화학·석유제품·바이오헬스 등 10대 모든 주력 업종에서 중국에 경쟁력이 뒤질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 중국이 앞선 철강(112.7→117.7), 일반기계(108.5→118.8), 이차전지(108.4→119.5), 디스플레이(106.4→114.3), 자동차·부품(102.4→114.8) 등 5개 업종은 2030년까지 격차가 더 확대될 것으로 전망됐다.
 
반도체(99.3→107.1), 전기전자(99.0→113), 선박(96.7→106.7), 석유화학·석유제품(96.5→106.2), 바이오헬스(89.2→100.4) 등 현재 한국이 우위에 있는 업종도 5년 내 중국에 추월당할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 수출 경쟁국가 및 한·미·일·중 기업경쟁력 수준. 한국경제인협회 제공최대 수출 경쟁국가 및 한·미·일·중 기업경쟁력 수준. 한국경제인협회 제공
미국과의 격차도 커질 것이란 예상이 나왔다. 기업들은 5년 뒤 미국의 경쟁력이 107.2에서 112.9로 높아질 것으로 봤으며, 철강 부문(98.8→100.8)에서는 미국이 한국을 앞지를 것이라고 답했다. 2030년에도 한국이 미국보다 경쟁력이 높다고 본 업종은 선박(90.0)과 이차전지(93.4) 등 2개에 그쳤다.
 
분야별 경쟁력 비교에서는 중국이 가격경쟁력·생산성 등에서, 미국은 상품 브랜드·전문인력·핵심기술 등에서 한국보다 우위에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쟁력 저하 요인으로는 △국내 제품경쟁력 약화(21.9%) △대외 리스크 증가(20.4%) △인구 감소에 따른 내수 부진(19.6%) △AI 등 핵심기술 인력 부족(18.5%) △노동시장·기업제도 낙후(11.3%) 등이 지적됐다.
 
정부에 대한 지원 요구로는 △대외 리스크 최소화(28.7%) △핵심 인력 양성 시스템 구축(18.0%) △세제·규제 완화 및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17.2%) △미래기술 투자 확대(15.9%) 등이 꼽혔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