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교육청 제공전국 대학의 사회복지학과계열 교수들이 대구시교육청에 집단으로 반발하고 있다.
대구지역 일선 학교에 배치된 교육(상담)복지사가 축소되는 가운데 시교육청이 해당 인력을 소멸직종으로 규정한 탓이다.
17일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등에 따르면 대구 초·중·고 474개교 중 123개교(25.9%)에만 교육복지사가 근무하고 있다.
전담 인력은 2022년 140명에서 2024년 132명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같은 기간 전국적으로 교육복지사 인력이 403명 증가한 점을 감안하면 대구만 역주행 한 셈이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은 "교육복지사가 소멸 직종이라 충원이 더 이상 되지 않고 있다. 복지사 미배치 학교에는 상담교사가 관련 업무를 대신하고 있다"고 해명했다고 한다.
이 같은 입장에 전국 대학 사회복지계열 교수들은 발끈했다.
교수들은 성명을 내 "한 아이도 포기하지 않는 다품교육을 표방하는 대구시교육청의 목표와 전혀 상응하지 않는다. 공교육의 근본 책무를 방기한 시대착오적 선언"이라고 일갈했다.
교수들은 "교육복지사는 소멸돼야 할 직종이 아니라, 교육적 불평등이 심화하고 복합위기 학생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오히려 확대해야 할 필수 직종"이라고 반박했다.
또 "대구교육청은 상담교사와 교육복지사의 전문성을 모두 폄훼하고 있다"면서 "상담교사가 학생의 정서적 문제에 중점을 둔 내적 접근을 수행한다면, 교육복지사는 환경 속의 인간이라는 관점에 따라 학생을 둘러싼 생태체계에 개입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구교육청은 소멸 직종 발언을 즉각 철회하고 공식 사과해야 한다"면서 "자연 감축을 전제로 한 교육복지사 축소 정책을 전면 폐기하고 즉각적인 충원 내지 확대 계획을 수립하라"고 요구했다.
성명에는 경북대, 경기대, 대전대, 목포카톨릭대, 전북대, 성균관대, 울산대 등 전국 79개 대학교 사회복지계열 교수 152명이 동참했다.